♬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김포정씨(金浦鄭氏)
    유래
     시조 : 정응문(鄭應文)
    시조 정응문(鄭應文)은 1128년(고려 인종6) 어사대 중승(御史臺中丞)으로 남계선무사(南界宣撫使)가 되어 남해안(南海岸) 일대에 봉기한 도적을 진압할 때 좌성(佐成) 등 해적 828명이 귀순해 오자, 합천(陜川) 삼기현(三岐縣)에 귀원장(歸原場), 취안장(就安場), 진주(晋州) 의령현(宜寧縣)에 화순장(和順場)을 설치하여 그들을 수용하고 생활의 터전을 마련해 주었다.
    그리하여 후손들은 정응문(鄭應文)을 1세조로 하고 여러 대에 걸쳐 살아오며 호족(豪族)을 이룬 김포를 본관으로 삼아 대를 이어왔다.
    인물
    정응문의 증손 정초(鄭楚)가 호부상서(戶部尙書)를 지냈으며, 현손(玄孫) 정곤수(鄭昆壽)는 조선이 개국한 후 부사(府使)를 역임했다.
    이 밖에 정송(鄭松)이 공조참판(工曹參判)을 역임하여 가문을 빛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정계주(鄭繼周, 1579 己卯生)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정엽(鄭曄, 1556 丙辰生) : 무과(武科) 선조16년(1583) 별시 병과(丙科)
     정상인(鄭尙仁, 1613 癸丑生) : 무과(武科) 인조22년(1644) 별시 병과(丙科)
     정기만(鄭起晩, 1652 壬辰生) : 무과(武科) 숙종4년(1678) 정시 병과(丙科)
     정익창(鄭益昌)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정영한(鄭榮漢, 1657 丁酉生) : 무과(武科) 숙종15년(1689) 증광시 갑과(甲科)
     정상민(鄭尙敏, 1607 丁未生) : 무과(武科) 인조14년(1636) 별시 병과(丙科)
     정상선(鄭尙璇, 1615 乙卯生) : 무과(武科) 인조22년(1644) 별시 병과(丙科)
     정득(鄭得, 1564 甲子生) : 역과(譯科) 선조18년(1585) 식년시
     정근섭(鄭根燮, 1859 己未生) : 역과(譯科) 고종19년(1882) 식년시 ()
    등 모두 16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무과 8명, 역과 5명, 의과 3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기도 김포
    김포(金浦)는 경기도 서쪽 한강(漢江) 하구에 위치한 옛 김포군 지역의 이름이다. 고구려 때 김포는 검포현이라 하였고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김포로 고쳐져 장제군(長堤郡: 富平)의 영현이 되었다. 1172년(고려 명종 2)에 분리되어 감무를 두었으며, 1198년(신종 1)에 이르러 왕의 태(胎)를 묻었다 하여 현으로 승격하였다.
    1414년(태종 14)에 양천(陽川)을 합하여 금양현이라 하였고, 나중에 다시 양천은 금천에, 김포는 부평부에 합하였다가 1416년에는 다시 현으로 복귀되었다. 1632년(인조 10)에 인조의 생부(生父) 원종(元宗)의 능인 장릉(章陵)을 양주로부터 이장함에 따라 군으로 승격되었다. 1896년(고종 33)에 경기도 김포군으로 개편되었고,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양천군이 김포군에 통합되었고, 1934년에는 김포군의 일부였던 군내면이 김포면으로 개칭되었다. 1979년 5월 1일 김포면이 읍으로 승격하였고, 1995년 검단면이 읍으로 승격하였고, 같은 해 검단읍이 인천광역시에 편입되었다. 1998년에는 김포군이 김포시로 승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김포정씨는
    1985년에는 494가구 2,377명, 2000년에는 214가구 665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436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