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나주정씨(羅州鄭氏)
유래
시조 : 정해(鄭諧)
시조 정해(鄭諧)는 고려 중엽의 인물로 본관 나주는 선대로부터의 세거지로서의 인연을 좇아 정한 것으로 보인다. 인물
시조 정해의 증손자 정가신(鄭可臣·1224~1298년)은 나주 사람으로 자는 남헌, 호는 설재(雪齋),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정가신은 나주 동강면 시중동(지금의 인동리)에서 향공진사(鄕貢進士) 정송수(鄭松壽)의 아들로 태어나 금안동에서 자랐다. 어려서 승려 천기(天琪)를 따라 상경하여 1259년(고려 고종 46년) 문과에 급제하여 충열왕 3년(1277년) 보문각대제(寶文閣待制)가 되고 정녕공에 봉해졌다. 이어 좌사의대부를 거쳐 추서윤으로 필적이 되고 1280년(충열왕 6년) 승지가 되었다. 1284년(충열왕 10년) 밀직학사로서 정조사가 되어 원에 다녀 왔으며, 1287년 감찰대부·판삼사사를 역임한 후 1290(고려 충렬왕 16년)년 정당문학정당문학(政當文學)으로 사의(師儀)가 되어 세자를 따라 재차 원에 들어갔다. 그 후 성절사로서 3차례 원나라에 다녀왔으며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 세자이사가 되었으며 그 후로 벼슬이 여러번 승배되었는데 특히 그는 명문장가로서 "천추금경록(千秋金鏡錄)"을 저술하기도 했으며 청렴결백하였다. 삼불의헌공(三不義軒公) 정초(鄭初. 1344~1423년)는 정가신의 증손으로 태종 5년(1405) 문과에 급제하여 집현전 교리, 호조판서를 지냈다. 조선 시대에 와서는 정가신의 5세손 정식(鄭軾. 1407~1467년)이 세종 때 문과에 급제하였고 함길도 도관찰사(咸吉道都觀察使)로 야인정벌(野人征伐)에 공을 세워 자헌대부 (資憲大夫)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에 이르렀다. 그 밖의 인물로는 예조판서(禮曹判書)를 지낸 정국(鄭菊)과 이조정랑(吏曹正郞)을 지낸 일헌(逸軒) 정심(鄭諶. 1520~1602년). 부사(府使)를 역임한 정상(鄭詳. 1533~1609년) 등이 이름났고, 임진왜란 때 용맹을 떨쳐 비장군(飛將軍)으로 일컬어진 정여린(鄭如麟. 1564~1640년)이 뛰어났다. 또한 가의대부(嘉義大夫)에 올라 사정(司正)과 용양위부호군(龍 衛副護軍)을 지낸 정기수(鄭麒壽)와 수군방어사를 지낸 정봉수(鄭鳳壽), 병조참판(兵曹參判)에 추증된 정응(鄭應), 죽우당(竹友堂) 정란(鄭瀾. 1583~1656년), 묵재공(墨齋公) 정눌(鄭訥) 등이 가문을 대표하는 후손들이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정상(鄭詳, 1533 癸巳生) : 문과(文科) 선조7년(1574)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정운형(鄭運亨, 1669 己酉生) : 문과(文科) 숙종28년(1702) 별시 병과(丙科) 정심(鄭諶) : 문과(文科) 선조1년(1567) 증광시 병과(丙科) 정진(鄭○, 1719 己亥生) : 문과(文科) 영조38년(1762) 식년시 병과(丙科) 정재교(鄭再僑, 1680 庚申生) : 문과(文科) 숙종40년(1714) 증광시 병과(丙科) 정식(鄭軾, 1407 丁亥生) : 문과(文科) 세종14년(1432) 식년시 병과(丙科) 정승길(鄭承吉, 1608 戊申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정형석(鄭亨石, 1661 辛丑生) : 무과(武科) 숙종21년(1695) 별시 병과(丙科) 정승남(鄭承男, 1591 辛卯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정의립(鄭義立, 1606 丙午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등 모두 54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6명, 무과 16명, 생원진사시 32명) 세거지
-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전곡리
- 전라북도 장수군 계내면 금곡리 - 전라남도 나주시 동강면 양지리 - 전라남도 함평군 월야면 용월리 - 전라남도 무안군 몽탄면 양장리 - 전라남도 무안군 청계면 서호리 - 전라남도 무안군 석곡면 사천리 - 충청남도 서산시 지곡면 산성리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전라남도 나주
나주(羅州)는 전라남도 나주시(羅州市) 지역으로 백제 때 발라군(發羅郡)으로 불리었고, 뒤에 죽군성(竹軍城)으로 바뀌었다. 백제 멸망 후 당나라가 이곳에 대방주(帶方州)를 설치하였으며, 686년(신라 신문왕 6)에는 통의군(通義郡)으로, 757년(경덕왕 16) 이후로는 금산군(錦山郡) 또는 금성군(錦城郡)으로 부르며 무주(武州: 光州)의 관할로 두었고, 회진현(會津縣)·여황현(艅艎縣)·철야현(鐵冶縣) 등이 부속으로 영입되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나주로 지명이 바뀌었고, 983년(성종 2)에 나주목이 설치되었다. 995년(성종 14)에는 나주진해군절도사(羅州鎭海軍節度使)가 되었다. 1018년(현종 9) 다시 나주목으로 고쳐 5개의 속군(무안·담양·곡성·낙안·남평)과 11개의 속현(철야·반남·안노·복룡·원율·여황·창평·장산·회진·진원·화순)을 거느렸다. 1310년(충선왕 2)에 지주사(知州事)로 강등되었다가 1356년(공민왕 5)에 다시 목으로 승격하였다. 고려·조선시대를 통하여 주로 목(牧), 부(府)로서 전남지역 행정의 중심지를 이루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나주부로서 나주군 등을 관할하였고, 1981년 나주읍과 영산포읍이 통합하여 금성시로 승격하여 나주군에서 분리되었고, 금성시는 1985년 나주시로 개칭되었다. 1995년 나주시와 나주군이 통합되어 나주시로 개편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나주정씨는
1985년에는 13,110가구 55,684명, 2000년에는 29,068가구 93,845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37,888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