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시조 : 정선갑(鄭先甲)
시조 정선갑(鄭先甲)의 자는 시인(始仁)으로 명나라의 진사를 지냈으며 중국 낭야에서 출생했다.
정선갑은 명나라 세종 때 문연각 태학사(文淵閣太學士)를 지낸 정문겸(鄭文謙)의 증손자로 1617년 산동성(山東省) 낭야에서 출생하여 진사(進士)로 있다가 1644년 명(明)나라가 청(淸)에 멸망되자 나라를 구하려 의거(義擧)를 하려다가 청군(淸軍)에게 포로가 되어 심양(瀋陽)에 끌려갔다.
수용중인 그 심양에서 풍삼사(馮三仕), 황 공(黃功), 왕이문(王以文) 등 9의사(九義士)와 함께 동지(同志)로 결합(結合)하였는데, 이 때 병자호란 (丙子胡亂)의 볼모로 심양에 와 있던 봉림대군(鳳林大君. 후에 효종) 일행을 만나 함께 힘을 합칠것을 약속하였다.
이듬해 봉림대군을 따라 조선에 들어와 조양루(朝陽樓) 남쪽 황조인촌(皇朝人村 : 지금의 종로구 연지동 1번지 부근)에 살면서 효종(孝宗 : 봉림대군)과 비밀리에 북벌할 계획을 추진중 1659년(효종 10년) 왕(王)의 급서(急逝)로 북벌 계획이 좌절되고 그리던 고국에 돌아가지 못하게 되자 조선에 귀화하여 살게 되었다고 한다.
그 후 후손들은 150여 년간 황조인촌에 집단거주하면서 조정에서 베푸는 특별 후대(厚待)를 받아왔고, 임진왜란 때 원군(援軍)을 보내준 명(明)나라 신종(신宗)의 은의(恩義)를 추모하기 위해 숙종(肅宗)이 비원(秘苑) 내에 대보단(大報壇)을 만들어, 배향할 때
시조 정선갑을 포함한 9의사(九義士)를 함께 배향하는 은전(恩典)이 내렸고, 대보단 수직관직(守直官職)을 9의사 자손에게 대를 물리도록 하였다.
후손들이 시조의 출신지를 따라 본관을 낭야로 하였다.
세거지
경기도 포천군 포천면 설운리
경기도 의정부시 용현동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중국(中國) 산동성(山東省)
낭야(瑯琊)는 중국 산동성(山東省) 청주부(淸州府) 제성현(諸城縣) 근방에 위치하는 지명이다. 한(漢)나라 때부터 화려한 왕도정치의 중심지로 유명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낭야정씨는
1985년에는 194가구 871명, 2000년에는 335가구 1,088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10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