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서산정씨(瑞山鄭氏)
유래
시조 : 정인경(鄭仁卿)
시조 정인경(鄭仁卿)의 선조는 중국 금화부 포강현 절강사람 鄭應中(鄭應中)으로서 그는 송나라에서 判將作監(判將作監)을 지냈고 그의 증손 신보(鄭臣保)는 송나라에서 尙書刑部 員外郞(尙書刑部員外郞)으로 있다가 나라가 망하자 바다를 건너 우리나라로 망명하여 서산에 정착하였다. 정신보의 아들이 곧 정인경이다. 그는 1254년(고려 고종 41년) 문과에 급제하고려 충열왕이 세자로 원나라에 머물때 호종했고 그후 1299년(충렬왕 25년) 판삼사사(判三司事)가 되어 정조사(正朝使)로 원나라에 다녀오고, 도검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를 거쳐 중찬(中贊)으로 은퇴하였다. 그래서 후손들 이 시조의 정착지인 서산을 본관으로 하였다. 인물
고려때 정신유(鄭信柔)와 정수는 상서(尙書)가 되었으며 정세충(鄭世忠)은 지제교(知製敎) 정달한(鄭達漢)은 수랑장(首郞將)을 지냈다. 또한 정윤홍(鄭允弘)은 군기부정(軍器副正)이 되었고 정윤장(鄭允壯)은 중랑장에 올랐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정순은 판서에 올랐으며 정방형(鄭邦衡)과 정주, 그리고 정성검(鄭成儉)과 정희(鄭僖)는 현감이 되었으며 , 정사인(鄭斯仁)과 정성양(鄭成良)은 군수, 정견은 시평, 정언좌(鄭彦佐)는 판관이 되었고 정내언(鄭耐言)과 정천언(鄭踐言)은 부호군(副護軍)이 되어 가문을 번성시켰다. 정인홍(鄭仁弘)은 선조 때 대북파(大北派)의 영수(領袖)로서 1592년(선조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아 항전하여 영남의병장의 호를 받았고, 대사헌과 동지중추부사, 공조참판 등을 지냈다. 또한 정인영(鄭仁榮)은 판관이 되었으며, 정인함(鄭仁涵)은 정랑(正郞), 정의열(鄭義烈)은 중추부사가 되어 이름을 떨쳤고, 정차주(鄭次周)는 효자로서 세상의 귀감이 되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정희(鄭僖) : 문과(文科) 연산군2년(1496) 식년시 병과(丙科)
정성량(鄭成良) : 문과(文科) 문종0년(1450) 식년시 정과(丁科) 정인함(鄭仁涵, 1546 丙午生) : 문과(文科) 선조34년(1601) 식년시 을과(乙科) 정결(鄭潔, 1572 壬申生) : 문과(文科) 광해군10년(1618) 증광시 을과(乙科) 정제룡(鄭霽龍, 1577 丁丑生) : 무과(武科) 광해군7년(1615) 식년시 병과(丙科) 정동오(鄭東五, 1622 壬戌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현종7년(1666) 식년시 이등(二等) 정척(鄭滌, 1577 丁丑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선조38년(1605) 증광시 이등(二等) 정옥(鄭沃, 1561 辛酉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광해군2년(1610) 식년시 삼등(三等) 정제(鄭濟, 1552 壬子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선조9년(1576) 식년시 삼등(三等) 정희렴(鄭希廉)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중종14년(1519) 식년시 이등(二等) 등 모두 26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4명, 무과 1명, 생원진사시 21명) 세거지
-충북 영동군 황금면 죽전리
-충북 청원군 문의면 -경북 금릉군 대덕면 -경북 함양군 지곡면 -경북 합천군 합천면, 가양면 -전남 장성군 장성읍 -전남 광산군 서창면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충청남도 서산
서산(瑞山)은 충청남도 서산시 일원의 옛 지명으로 백제 때에는 기곡군(基谷郡)이었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 한 후 757년(경덕왕 16)에는 부성군(富城郡)으로 이름을 바꾸어 지육현(地育縣: 서산시 지곡면 일대)과 소태현(蘇泰縣: 泰安)을 관할하였다. 1144년(고려 인종 22)에는 현으로 개편되었다가, 1284년(충렬왕 10)에 이 고을 사람인 정인경이 공을 세워 서주군(西州郡)으로 승격하였다. 1308년(충선왕 1)에는 서주목(西州牧)으로 승격하였다가, 1310년에 서령부(瑞寧府)가 되었다가 후에 서주(瑞州)로 강등되었다. 1413년(태종 13)에 서산군(瑞山郡)으로 개칭되었고 1695(숙종 21)~1713년, 1733(영조 9)~42년, 1776(정조 즉위)~83년에는 현으로 강등되기도 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홍주부 서산군, 1896년에 충청남도 서산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태안(泰安)·해미(海美)를 서산에 통합하였고, 군 내 동일면·동이면·군내면이 태안면으로 개편되었다. 1917년에는 서령면이 서산면으로 개칭되었고 1942년 서산읍으로 승격하였다. 1989년에 서산읍이 시로 승격되어 분리되고 태안군이 복원되어 분리되었다. 1995년에는 서산군이 서산시에 통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서산정씨는
1985년에는 3,287가구 13,819명, 2000년에는 4,764가구 15,362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8,614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