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영덕정씨(盈德鄭氏)
    유래
    영덕정씨(盈德鄭氏)에 대한 자료가 없습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정영국(鄭榮國, 1564 甲子生) : 문과(文科) 선조27년(1594) 별시2 병과(丙科)
     정자영(鄭自英) : 문과(文科) 세종16년(1434) 알성시 을과(乙科)
     정광국(鄭匡國, 1547 丁未生) : 무과(武科) 선조17년(1584) 별시 병과(丙科)
     정사룡(鄭士龍, 1611 辛亥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정계현(鄭繼賢, 1600 庚子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정사교(鄭士僑)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중종17년(1522) 식년시 이등(二等)
    * 모두 6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2명, 무과 3명, 생원진사시 1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영덕
    영해(寧海)는 경상북도 동북부에 위치한 지명으로, 일찍이 고구려의 야시홀(也尸忽)과 우시국(于尸國)이 있었다. 79년(신라 탈해왕 23)에 신라가 병합하여 757년(경덕왕 16)에 우시국을 유린군(有隣郡)으로, 야시홀을 야성군(野城郡)으로 바꾸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영덕(盈德)과 예주(禮州)로 개칭하였으며, 1018년(현종 9)에 예주(禮州)에 병합되었다가 후에 다시 분리시켜서 현령(縣令)을 두었다. 1258년(고종 45)에 예주가 덕원소도호부로 승격하였고 1310년(충선왕 2)에는 영해부로 개편되었다. 1413년(태종 13)에는 영해도호부(寧海都護府)가 설치되었고 1415년 지현사(知縣事)를 두었다가 현령(縣令)이 파견 되어 조선시대 동안 명맥이 이어졌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영덕과 영해현은 안동부로 이관되었다가, 이듬해 경상북도로 관할이 변경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영해군이 폐지되고 영해면으로 축소되어 영덕군에 통합되었고, 1979년에 영덕면이 읍으로 승격하였다. 현재 영덕군의 관할구역은 영덕읍·강구면·남정면·달산면·지품면·축산면·영해면·병곡면·창수면 등 1읍 8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영덕정씨는
    1985년에는 520가구 2,212명, 2000년에는 395가구 1,299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674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