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행주기씨(幸州奇氏)
유래
시조 : 기우성(奇友誠)
시조 기우성(奇友誠)은 기자(箕子)의 49세손으로 백제 온조왕 때 시중(侍中)을 지냈다고 한다. 그러나 기우성 이후의 계대(系代)를 알 수 없어 고려 인종(仁宗) 때에 평장사(平章事)에 추증된 기순우(奇純祐)를 1세조(一世祖)로 하고있다. 기순우는 기우성의 66세손이라고 한다. 기자의 41세손 기준(箕準, 애왕)에 이르러 위만에게 나라를 빼앗겨 기준이 배를 타고 금마군(金馬郡 : 지금의 익산군)으로 내려가 도읍을 정하고 나라 이름을 마한(馬韓)이라 개칭한 후 50여 소국(小國)을 통합하여 다스리며 한왕(韓王)이 되었다. 기준의 7세손 기훈(箕勳, 원왕)에게 아들 세형제가 있었는데 기우성은 백제에서 행주기씨, 기우량(奇友諒)은 신라에서 청주한씨, 기우평(奇友平)은 고구려에서 북원선우(평양선우)씨가 되었다고 한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기준격(奇俊格, 1594 甲午生) : 문과(文科) 광해군8년(1616) 알성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기수발(奇秀發, 1596 丙申生) : 문과(文科) 광해군8년(1616) 알성시 을과(乙科) 기대승(奇大升, 1527 丁亥生) : 문과(文科) 명종13년(1558) 식년시 을과(乙科) 기진흥(奇震興, 1606 丙午生) : 문과(文科) 인조22년(1644) 정시 병과(丙科) 기저(奇○) : 문과(文科) 성종21년(1490) 별시 을과(乙科) 기형(奇逈) : 문과(文科) 중종11년(1516) 식년시 병과(丙科) 기자헌(奇自獻, 1562 壬戌生) : 문과(文科) 선조23년(1590) 증광시 병과(丙科) 기침(奇琛, 1622 壬戌生) : 문과(文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기경현(奇慶鉉, 1814 甲戌生) : 문과(文科) 철종1년(1850) 증광시 병과(丙科) 기양연(奇陽衍, 1827 丁亥生) : 문과(文科) 고종4년(1867) 식년시 을과(乙科) 등 모두 91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22명, 무과 16명, 생원진사시 50명, 역과 2명, 의과 1명) 세거지
광주광역시 광산구
전라남도 장성군 전라남도 무안군 망운면 연리 황해도 금천군 좌면 암사리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기도 고양
행주(幸州)는 경기도 고양시(高陽市) 행주산성 일대의 옛 지명이다. 백제시대에는 개백현(皆伯縣)이었고 고구려가 점령한 후로는 왕봉현(王逢縣)이라 불렀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우왕현(遇王縣)으로 고쳐 한양군의 관할이 되었다. 940년(태조 23)에 행주로 개칭하였고, 1018년(현종 9)에 양주(楊州)에 귀속되었다. 1394년(태조 3)에는 고봉현(高烽縣)에 통합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고양군 지도면(知道面)이 되었다가, 1985년에 지도읍으로 승격하였다. 1992년 고양군이 고양시로 승격됨에 따라 그 중심지역은 행주동으로 개편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행주기씨는
1985년에는 5,244가구 21,756명, 2000년에는 6,660가구 21,536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27,379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