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천안정씨(天安鄭氏)에 대한 자료가 없습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정광흡(鄭光洽, 1619 己未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정걸(鄭傑, 1603 癸卯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정계선(鄭繼先, 1600 庚子生) : 역과(譯科) 광해군11년(1619) 증광시 ()
* 모두 3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무과 2명, 역과 1명)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충청남도 천안
천안(天安)은 본래 마한의 땅이었고, 백제의 대록군(大麓郡)과 감매현(甘買縣)·순치현(馴雉縣)이었다가 고구려의 사산현(蛇山縣) 지역이 되었고, 통일신라시대에는 대록과 백성군(白城郡)의 영현이었다. 930년(고려 태조 13)에 3국의 요충지라 하여 천안부(天安府)로 개칭하였고, 군병을 주둔시켜 도독(都督)을 두었다. 목종 때 이를 폐지하였다가 1018년(현종 9)에 천안군이 되어 지사부(知事府)를 두어 1개의 속군과 직산 등 7개의 속현을 거느리는 큰 고을이 되었다. 1310년(충선왕 2)에 천안을 영주(寧州)로 고쳤고, 1362년(공민왕 11)에는 다시 천안부로 개칭하였다. 1413년(태종 13) 영산군(寧山郡)으로 고쳤고, 1416년 다시 천안군으로 개칭하고 문종 때 명산(明山)으로 불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공주부 천안군이 되었고, 1896년 충청남도에 속하였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목천군·병천군을 합하여 천안군이라 불렀고, 1963년 천안읍과 환성면이 합쳐져 천안시로 분리되었다. 1995년 천안군이 천안시에 통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천안정씨는
1985년에는 34가구 162명, 2000년에는 288가구 935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43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