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시조 : 정금강(鄭錦綱)
원조 정금강(鄭錦綱)은 고려말 문하시중 평장사로 조선개국 공신으로 좌의정에 오르고, 청산군에 봉해졌다.
그후 세계가 실전됨으로써 가선대부(嘉善大夫), 사헌부대사헌으로 연산군에게 직간을 하다가 종성부교수(鍾城府敎授)로 좌천된 정운결(鄭雲潔)을 1세조로 하고 본관을 청산으로 하였다.
인물
조선시대 현감을 지낸 정희한(鄭希漢)을 비롯하여 주부(主簿)를 지낸 정필(鄭弼), 목사(牧使)를 지낸 정익(鄭翼), 교위의 정여해(鄭汝偕), 부사과(副司果)의 정문우(鄭文祐), 판관(判官)을 지낸 정효성(鄭孝誠) 등 관직자들을 배출하였다.
정빈(鄭賓)은 첨절제사(僉節制使)를 지냈고, 정종주(鄭宗周)는 부호군을 지냈으며, 정봉상(鄭鳳祥)은 호조정랑을 역임하였다. 그리고 정여흠(鄭汝欽)은 경서에 밝아 후진양성에 힘을 기울였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정응길(鄭應吉, 1603 癸卯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정화제(鄭華齊, 1645 乙酉生) : 무과(武科) 현종13년(1672) 별시 병과(丙科)
정세민(鄭世民, 1604 甲辰生) : 무과(武科) 인조14년(1636) 별시 병과(丙科)
* 모두 3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무과 3명)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세거지
-강원도 춘성군 남면, 서면 현암리
-강원도 횡성군 청일면 초현리, 공근면 삼배리
-강원도 화천군 하남면 논미리
-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전북 완주군 비봉면 소농리
-전북 익산군 팔봉면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충청북도 옥천
청산(靑山)은 충청북도 옥천군(沃川郡)에 위치하는 지명으로 본래는 신라 굴산현(屈山縣)이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 기산현(嗜山縣)으로 고치고, 940년(고려 태조 23)에 청상현으로 개칭하여 상주(尙州)에 속하게 하였다. 1414년(태종 14) 황간현(黃澗縣)과 합하여 황청현(黃靑縣)이라 하였으나, 후에 다시 분리해서 청산현으로 복구하였고,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청산군으로 승격하였다가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옥천군에 편입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청산정씨는
1985년에는 867가구 3,656명, 2000년에는 1,135가구 3,707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4,527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