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초계정씨(草溪鄭氏)
유래
시조 : 정배걸(鄭倍傑)
시조 정배걸(鄭倍傑)은 초계성산에 정착해 살았으나 그 선조에 대해서는알 수 없다. 그는 1017년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고 문종 때 예부상서, 중추원부사를 지냈으며 사학을 창시하여 홍문공도(弘文公徒)를 이루었는데 12공도 중 문헌공도(文憲公徒)와 함께 최성(最盛)하여 유가(儒家)의 대가요, 백세의 존사(尊師)라 일컬었다. 홍문광학 추성찬화공신(弘文廣學 推誠贊化功臣)으로 문하시중 상주국 광유후(門下侍中 上柱國 光儒侯)에 이르고 초계군에 봉해졌다. 그래서 후손들이 초계를 본관으로 삼았다. 인물
조선시대 57명의 문과급제자를 배출하였다.
고려 때 예부상서를 지낸 정문(鄭文)을 비롯하여 조선시대에 우참찬의 관직에 오른 정엽(鄭曄), 우찬성 정종영(鄭宗榮), 한성부좌윤 정기광(鄭基廣), 대제학 정선등을 그대표적 인물로 꼽는다. 우참찬(右參贊) 정화는 1583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에 등용되고 1587년 감찰, 형조좌랑을 거쳐 1593년 광주판관으로서 왜군을 격퇴한 공으로 중화부사(中和府使)가 되었다. 그후 대사간, 공조참판등을 역임한 뒤 1617년 폐모론이 일어나자 자원하여 양양부사로 나갔다가 1년만에 사퇴하였으며 1623년 인조반정 후 대사성(大使成) 겸 동지경연(同知經筵)이 되었고 대사헌, 우참찬 등을지냈다. 대표적 인물은 이조참판 정온(鄭蘊)이다. 그는 성품 이 곧고 절개가 높기로 유명하여 광해군 6년에 강화도에 귀양가있던 영창대군이 죽음을 당하자 그 하수인 강화부사 정항의 처형을 주장, 광해군의 비위를 거슬려 10년 동안이나 제주도에서 귀양살이를 겪었다. 귀양생활 중에 지은 "망북두시(望北斗詩)", "망백운가(望白雲歌)" 등은 그의 애군우국(愛君憂國)의 뜻을 토로한 것이었다. 그 뒤 인조반정으로 풀려나와 경상도 관찰사, 부제학 등을 역임하고 이조참판에 이르러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김상헌(金尙憲) 등과 함께 척화(斥和)를 주장했으나 마침내 화의가 성립되자 벼슬을 버리고 덕유산에 들어가 은둔생활을 하였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정문익(鄭文翼, 1571 辛未生) : 문과(文科) 광해군3년(1611)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정계주(鄭啓周, 1706 丙戌生) : 문과(文科) 영조16년(1740)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정시망(鄭時望, 1586 丙戌生) : 문과(文科) 인조8년(1630)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정덕기(鄭德麒, 1556 丙辰生) : 문과(文科) 선조9년(1576) 식년시 병과(丙科) 정원석(鄭元奭, 1585 乙酉生) : 문과(文科) 인조5년(1627) 정시3 병과(丙科) 정종영(鄭宗榮, 1513 癸酉生) : 문과(文科) 중종38년(1543) 식년시 병과(丙科) 정창주(鄭昌胄) : 문과(文科) 인조24년(1646) 중시 병과(丙科) 정창주(鄭昌胄, 1606 丙午生) : 문과(文科) 인조15년(1637) 정시 병과(丙科) 정명겸(鄭鳴謙, 1601 辛丑生) : 문과(文科) 인조26년(1648) 식년시 을과(乙科) 정위주(鄭緯柱, 1713 癸巳生) : 문과(文科) 영조29년(1753) 식년시 을과(乙科) 등 모두 289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58명, 무과 27명, 생원진사시 203명, 음양과 1명)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남도 합천
초계(草溪)는 현재 경상남도 합천군 초계면 지역으로 신라 때는 초팔혜현(草八兮縣)이라 불리었고, 757년(신라 경덕왕 16) 팔계로 고쳐 강양군의 영현으로 삼았다. 940년(고려 태조 23) 초계로 명칭을 고쳤고, 1334년(고려 충숙왕 3)에는 초계현이 군으로 승격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합천군 초계면이 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초계정씨는
1985년에는 20,215가구 83,311명, 2000년에는 29,264가구 93,586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04,155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