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팔계정씨(八溪鄭氏)
    유래
     시조 : 정승(鄭丞)
    시조 정승(鄭丞)의 시호는 낭평(浪平)으로 고려 시대에 국자박사(國子博士)를 지냈다.
    정승은 초계정씨 시조 정배걸(鄭倍傑)의 손자로 고려시대에 내급사(內給事)를 지낸 정복경(鄭福卿)의 후손이다.
    따라서 팔계정씨는 초계정씨에서 분관되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정수석(鄭洙碩, 1625 乙丑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인조24년(1646) 식년시 삼등(三等)
     정윤(鄭鈗, 1627 丁卯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효종3년(1652) 증광시 삼등(三等)
    * 모두 2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생원진사시 2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남도 합천
    팔계(八溪)는 현재 경상남도 합천군 초계면 지역이다. 신라 때는 초팔혜현(草八兮縣)이라 불리었고, 757년(신라 경덕왕 16) 팔계로 고쳐 강양군의 영현으로 삼았다. 940년(고려 태조 23) 초계로 명칭을 고쳤고, 1334년(충숙왕 3)에는 초계현이 군으로 승격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합천군 초계면이 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팔계정씨는
    1985년에는 646가구 2,886명, 2000년에는 711가구 2,318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7,366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