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도강조씨(道康趙氏)
    유래
    도강조씨(道康趙氏)에 대한 자료가 없습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조홍수(趙弘壽, 1564 甲子生) : 무과(武科) 선조16년(1583) 별시 병과(丙科)
    * 모두 1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무과 1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전라남도 강진
    도강(道康)은 전라남도 남서해안에 위치하는 현재 전라남도 강진군(康津郡) 일원의 옛 지명이다. 백제시대에 도무군(道武郡)으로 불리었고, 757년(신라 경덕왕 16)에는 양무군(陽武郡)으로 개칭하였다가, 940년(고려 태조 23)에 도강현(道康縣)으로 이름을 바꾸고 광주(光州)에 예속시켰다. 1018년(현종 9)에는 영암군의 영현이 되었다가 1172년(명종 2)에 감무가 설치되면서 독립하였다. 별도로 금릉(金陵)이라 불리우기도 하였다. 1417년(태종 17) 도강현과 탐진현(耽津縣)을 강진현으로 병합하였다. 1418년에는 지금의 병영면에 병마절도사를 두고 병영성을 축조했으니, 강진은 조선시대에 전라도 병영이 있었던 곳이다. 1895년(고종 32) 지방관제 개정으로 전라남도 강진군이 되었다. 1936년에 강진면이 읍으로 승격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도강조씨는
    1985년에는 0명, 2000년에는 1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44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