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배천조씨(白川趙氏)
유래
시조 : 조지린(趙之린)
시조 조지린은 송나라 태조(太組 : 조광윤)의 맏아들인 조덕소(趙德昭 : 위왕)의 세째 아들로 979년(고려 경종 4년) 난을 피하여 우리나라에 들어와서 황해도 배천(白川 : 땅이름은 백천이 아닌 배천으로 발음한다.)군 도태리에 정착하여 살면서 고려 현종 때에 좌복야 참지정사가 되었다. 그의 아들 조양유(趙良裕)는 고려 덕종과 정종 때 판위위사승(判衛尉寺丞)을 지냈고, 추의찬화익조공신(贊化翊祚功臣) 문하시중으로 백천군에 봉해졌다. 그래서 후손들이 본관을 배천으로 하고 있다. -묘소는 황해도 연백군 운산면 도태리 고정산에 있고, 향사일은 10월 1일이다. 인물
고려시대에 평장사를 지낸 조중장(趙仲璋)을 비롯하여 대제학을 지낸 조옥(趙玉), 병부상서를 지낸 조문주(趙文胄), 문하시중의 조진(趙珍), 대장군의 조천주(趙天柱), 검교시중(檢校侍中)의 조선(趙瑄) 등 많은 관직자들을 배출하면서 번성하였다.
특히, 참찬문하부사를 지낸 조반(趙胖)에 이르러서는 배천조씨 가문이 더욱 번영하였다. 그는 12세 때 원나라 연경에 가서 한문을 배우고, 몽고어를 통달하여 중서성역사(中書省譯史)로 있다가 귀국, 밀직부사, 동지밀직사사를 지내고 1392년 이성계의 개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 2 등으로 부흥군에 봉해졌다. 한편 조기(趙琦)는 개국공신 2 등으로 은천군에 봉해지고 동지중추원사를 지냈으며 문하시랑찬성사에 추증되었다. 조헌(趙憲. 1544~1592)은 1567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정주목 교수를 거쳐 통진현감, 보은현감, 전라도 도사를 지냈다. 1591년 일본의 도요토미가 명나라를 치기위해 길을 열어줄것을 요청 했을 때 사신을 참수하라고 왕에게 상소 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이우 김경백, 전승업 등과 함께 옥천에서 의병을 일으켜 1600여명을 규합하여 의병장이 되고, 승병과 합세하여 청주성을 수복하였으나 전라도로 진격하는 왜군에 맞서 금산 전투에 참가하여 의병들과 함께 싸우다 장렬하게 전사했다. 제자들이 시신을 한데모아 묻고 "700의총"이라 했다. 그는 율곡 이이의 제자 중 가장 뛰어난 학자의 한사람으로서 이이의 학문을 계승 발전시킨 유학자 이다. 조정호(趙廷虎)는 1612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 정자(正字)를 거쳐 찰방(察訪), 저작(著作), 전적(典籍) 등을 지내다가 병조판서에 이르렀고, 조석윤(趙錫胤)은 1626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이조정랑, 승지 등을 지낸 뒤 대제학으로 "인조실록"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조규현(趙圭鉉, 1856 丙辰生) : 문과(文科) 고종11년(1874)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조몽언(趙夢○, 1748 戊辰生) : 문과(文科) 정조6년(1782) 평안도문과 갑과(甲科) 장원급제 조정견(趙庭堅, 1558 戊午生) : 문과(文科) 선조28년(1595)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조석윤(趙錫胤, 1606 丙午生) : 문과(文科) 인조6년(1628)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조부우(趙府隅, 1491 辛亥生) : 문과(文科) 중종17년(1522) 별시 을과(乙科) 조석주(趙錫周, 1641 辛巳生) : 문과(文科) 숙종6년(1680) 정시 을과(乙科) 조광우(趙光祐, 1849 己酉生) : 문과(文科) 고종13년(1876) 식년시 을과(乙科) 조원지(趙元祉) : 문과(文科) 단종1년(1453) 식년시 정과(丁科) 조상옥(趙相玉, 1788 戊申生) : 문과(文科) 순조19년(1819) 식년시 병과(丙科) 조예근(趙禮根, 1796 丙辰生) : 문과(文科) 헌종6년(1840) 식년시 병과(丙科) 등 모두 260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68명, 무과 40명, 생원진사시 123명, 역과 19명, 의과 2명, 음양과 7명, 율과 1명) 세거지
-경기도에는 여주군 가야면 금당리
-김포군 고촌면 풍곡리 -강화군 양사면 교산리 -충남 청양군 화성면 광평리 -황해도 연백군 도촌면 마천리 -평남 용강군 대대면 화조리 -평북 정주군 덕언면 덕성동 -함남 북청군 속후면 광천리 족보발간
-병신보 : 1716년(숙종 42년)
-기묘보 : 1759년(영조 35년) -병자보 : 1780년(정조 4년) -갑자보 : 1804년(순조 4년) -경술보 : 1850년(철종 1년) -경진보 : 1880년(고종 17년) -계묘보 : 1903년(광무 7년) -계해보 : 1923년 -정유보 : 1957년 -무오보 : 1978년 -갑술보 : 1997년 12. 16. 국내최초로 족보를 CD-ROM으로 제작했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황해도 연백
배천(白川)은 황해도 남동부에 위치한 연백군(延白郡)의 옛 지명으로 본래 고구려 때 도랍현(刀臘縣) 또는 치악성(雉嶽城)이라 하였다. 신라 경덕왕 때는 구택현(雊澤縣)으로 개편하여 해고군(海皐郡)가 관할하였다. 고려 초에 배주(白州)로 바뀌어 개흥부·충익현·부흥군 등으로 불리우다가 의종 때 개흥부지사로 승격되었다. 1369년(공민왕 18) 다시 배주로 환원되었다. 1413년(태종 13) 배천군으로 개칭되었다. 1915년 연안군(延安郡)과 병합하여 연백군이 되었고 1953년 이후 황해도 연백군이 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배천조씨는
1985년에는 14,313가구 58,594명, 2000년에는 20,734가구 66,155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75,978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