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양주조씨(楊州趙氏)
유래
시조 : 조잠(趙岑)
시조 조잠(趙岑)은 고려 때 호장, 판중추원사를 지냈다. 그러나 양주조씨족보 경신보(1980년)에는 통정대부 호조참의에 증직됐다고 기록되어있다. 그리고 병신보(1956년) 서문에는 고려시대의 양주호장 조통(趙通)으로부터 시작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연대가 오래되고 문헌상 기록이 미흡해 대수(代數)를 밝힐 수 없으므로, 조잠(趙岑)을 시조로 하고 본관을 양주로 하고 있다. -시조의 묘는 전해지지 않는다. 음력 10월 14일 향사한다. 인물
조선시대에 대제학을 지낸 조말생(趙末生)을 비롯하여 이조판서를 지낸 조극관(趙克寬), 관찰사를 지낸 조수양(趙遂良), 공조판서를 역임한 조언수(趙彦秀), 좌삼찬(左參贊)의 조사수(趙士秀) 등 많은 관직자들을 배출하면서 가문의 기틀을 세웠다. 선조 때에 조정(趙挺)이 우의정에 오르고 조존성(趙存性)이 호조판서를 지내면서부터 가문은 더욱 번성하기 시작하였다.
조창원(趙昌遠)은 진사시에 합격, 의금부도사를 거쳐 인천부사를 지낼 때 딸이 인조의 계비(繼妃)가 되자 한원부원군(漢原府院君)에 봉해지고 돈녕부사(敦寧府事)가 되었다. 조계원(趙啓遠)은 1628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형조판서를 지냈으며, 조사석(趙師錫)은 1688년 좌의정, 조태채(趙泰采)는 1717년 우의정을 지냈다. 조태구는 1686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우의정을 거쳐 영의정을 지냈고, 조태억(趙泰億)은 1702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 호조판서를 거쳐 좌의정을 지냈다. 그리고 순조 때의 조두순(趙斗淳)은 1826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우의정과 좌의정을 거쳐 삼정 개혁을 단행, 1865년 영의정에 올라 삼군부(三軍府)를 부활시켰다. 철종 때의 조병세(趙秉世)는 1859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우의정을 거쳐 좌의정을 지냈다. 그는 1896년 폐정개혁(弊政改革)을 의해 시무19조를 상소하였고, 을사오적의 처형과 을사조약의 무효를 주장했으나 일본군의 방해로 뜻을 이루지못하자 자결하였다. 그에게는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중장이 수여되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조말생(趙末生, 1370 庚戌生) : 문과(文科) 태종1년(1401) 증광시 을과(乙科) 장원급제
조지석(趙祉錫, 1648 戊子生) : 문과(文科) 숙종1년(1675)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조중필(趙重弼, 1843 癸卯生) : 문과(文科) 고종14년(1877)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조영로(趙榮魯, 1701 辛巳生) : 문과(文科) 영조19년(1743)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조운규(趙雲逵, 1714 甲午生) : 문과(文科) 영조16년(1740) 정시 병과(丙科) 조영국(趙榮國, 1698 戊寅生) : 문과(文科) 영조6년(1730) 정시 병과(丙科) 조도빈(趙道彬, 1665 乙巳生) : 문과(文科) 숙종28년(1702) 알성시 을과(乙科) 조윤석(趙胤錫, 1615 乙卯生) : 문과(文科) 효종7년(1656) 별시 을과(乙科) 조익강(趙益剛, 1623 癸亥生) : 문과(文科) 숙종1년(1675) 증광시 을과(乙科) 조태동(趙泰東, 1649 己丑生) : 문과(文科) 숙종21년(1695) 별시2 병과(丙科) 등 모두 359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98명, 무과 9명, 생원진사시 251명, 음양과 1명) 세거지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 묵안리
-전북 김제군 청하면 관상리 족보발간
-신축보 : 1721년(경종 1년)
-계해보 : 1743년(영조 19년) -을유보 : 1825년(순조 25년) -병신보 : 1956년 -경신보 : 1980년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기도 양주
양주(楊州)는 경기도 중남부에 위치한 지명으로 백제 때에는 매성군(買城郡) 또는 마홀(馬忽)이 있었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내소군(來蘇郡)으로 바꾸었다. 고려시대에 들어 태조 때에 한양군을 견주(見州)로 승격시키고, 1018년(현종 9)에 견주를 양주에 편입하였다. 1394년(태조 3)에 수도를 한양(漢陽)에 정하고, 한성부(漢城府)를 설치하게 되자, 한양부(漢陽府)를 동촌 대동리로 옮기고 양주(楊州)로 개편했으며, 얼마 후 다시 읍의 중심지를 견주(見州)의 옛 터(지금 양주시 고읍동 일대)로 옮기고 1413년(태종 13)에 양주도호부(楊州都護府)로 승격하였다. 1430년(세종 12)에는 양주목으로 승격하고, 파주(坡州)와 고양군(高陽郡) 이외 영평(永平)·포천(抱川) 등의 5개 현을 관할하였다. 1504년(연산군 10)에 양주를 없앴다가 1506년(중종 1)에 복구하면서 중심지를 불곡산(佛谷山) 남쪽 유양리로 옮겼다. 양주의 별호는 광릉(廣陵)이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한성부 양주군이 되었고, 1896년에 경기도 양주군이 되었다. 1942년에 양주면을 의정부읍으로 승격시켰으며, 1946년에는 파주군의 남면을 편입하였다. 1963년 이담면을 동두천읍으로 승격하고, 수동면을 새로 설치하였다. 1980년에 일부 읍·면을 분할하여 남양주군으로 신설, 독립시켰고 1981년 의정부읍을 시로 승격시켜 양주군에서 독립시켰다. 2000년 주내면이 양주읍으로 승격했고, 2003년 양주군이 양주시로 승격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양주조씨는
1985년에는 5,462가구 23,221명, 2000년에는 7,437가구 23,942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29,631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