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한양조씨(漢陽趙氏)
유래
시조 : 조지수(趙之壽)
시조 조지수(趙之壽)는 중국에서 우리나라에 들어왔으나 연대는 알 수 없고, 고려 중엽에 조순대부 첨의중서사(朝順大夫 僉議中書事)를 지냈다. 그후 후손들이 조선 개국 때 한성(현재의 서울)으로 옮겨 가세가 크게 번영하였고, 많은 인물을 배출하였으므로 본관을 한양으로 하고 있다. 인물
고려시대에 시조 조지수의 외아들로 고려 고종 45년(1258) 원(몽고)의 쌍성총관부 초대쌍성총관을 지낸 조휘(趙暉), 조휘의 아들로 13세의 나이로 제2대 총관이 되고 부원수를 지낸 조양기(趙良琪), 공부상서와 예의판서를 역임하고 삼중대광 용성군에 이른 조돈(趙暾), 판의덕부사를 지낸 조인벽(趙仁璧) 등의 인물이 있었고,
조선시대에 이조판서를 지낸 조인옥(趙仁沃), 개국공신 한천부원군 양절공 조온(趙溫)과 한평부원군 양경공 조연(趙涓)등 많은 관직자를 배출하면서 가문의 기틀을 세웠다. 중종 때에 조광조는 일찌기 김굉필에게 수학하고 성리학 연구에 힘써 김종직의 학통을 이은 사림파의 영유가 되었다. 1515년 알성문과에 을과로 급제, 여러 관직을 거치면서 여씨향약을 실시케 하고 소격서를 폐지하는 등 급진적인 개혁을 단행하였으나 훈구파의 반발로 사약을 받고 죽었다. 조병옥은 1909년 평양숭실학교를 졸업하고 콜럼비아 대학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수여받았다. 그는 1929년 광주학생운동사건의 배후인물로 지목되어 왜경에게 체포되어 3년간 복역하였고,1937년 수양동지회사건으로 다시 2연간 복역했다. 1945년 해방이 되자 한국민주당을 창당하고 이승만 대통령의 정치노선을 비판하며 반독재 투쟁의 선봉에 나섰으며 1960년 민주당 후보로 대통령에 입후보 했으나 병사하고 말았다. 그에게 1962년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단장이 수여되었다. 청록파 시인 중의 한 사람인 조지훈도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조윤(趙贇, 1587 丁亥生) : 문과(文科) 인조2년(1624)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조경(趙絅, 1586 丙戌生) : 문과(文科) 인조4년(1626)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조덕순(趙德純, 1652 壬辰生) : 문과(文科) 숙종16년(1690)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조응문(趙應文, 1549 己酉生) : 문과(文科) 선조27년(1594) 정시 병과(丙科) 조현휴(趙顯休, 1778 戊戌生) : 문과(文科) 순조17년(1817) 별시 병과(丙科) 조종저(趙宗著, 1631 辛未生) : 문과(文科) 현종13년(1672) 별시 을과(乙科) 조숙(趙○, 1727 丁未生) : 문과(文科) 영조22년(1746) 정시 을과(乙科) 조우(趙佑, 1484 甲辰生) : 문과(文科) 중종14년(1519) 현량과 을과(乙科) 조박(趙璞) : 문과(文科) 중종39년(1544) 별시 병과(丙科) 조광조(趙光祖, 1482 壬寅生) : 문과(文科) 중종10년(1515) 별시 을과(乙科) 등 모두 428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91명, 무과 30명, 생원진사시 284명, 역과 5명, 의과 2명, 음양과 16명) 세거지
-충북 음성군 금왕읍 유촌리, 유포리, 삼봉리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서울특별시
한양(漢陽)은 현재 서울특별시에 해당하는 옛 지명으로 사람이 정착해 살기 시작한 것은 이미 선사시대부터이다. 백제 371년(근초고왕 26) 백제가 먼저 이 지역을 점령하고 한산이라 하였고, 392년(고구려 광개토대왕 2) 한때 이 지역을 점령했고, 475년(장수왕 63)에는 북한산주 설치하였다. 신라가 이 지역을 차지한 553년(신라 진흥왕 14) 신주(新州)로 개칭하였다가 557년(진흥왕 18) 9주 중 한산주(漢山州)에 속했으며, 757년(신라 경덕왕 16)에는 한주(漢州)라 개칭하면서 서울 일원을 한양군(漢陽郡)으로 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에는 12목의 하나인 양주목(楊州牧)으로 승격되었고, 1067년(문종 21)에는 3경의 하나인 남경(南京)이 되었다가 1308년(충렬왕 34) 한양부(漢陽府)로 개칭하였다. 1393년(태조 3) 이성계는 한양으로 천도하고 이듬해 한성부(漢城府)로 개칭하였고 도성을 중심으로 성저 10리에 이르는 5부(東部·西部·南部·北部·中部) 52방(坊)의 행정구역을 확정하였다. 1399년(정종 1)에는 수도를 개성으로 옮겼다가 6년후인 1405년(태종 5)에 한성으로 환도한 일이 있고, 1592년(선조 25)에는 임진왜란으로 의주에 파천하였다가 그 이듬해에 환도하기도 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한성군으로 격하되었다가 1896년 한성부로 환원되었고, 1910년에는 경성부로 이름을 바꾸었다. 1945년에 서울시로 개편하고, 1949년 서울특별시로 승격되었다. 1995년에는 지방자치단체장의 선거가 비로소 이루어져 지방자치의 시대를 열었다. 선거를 앞두고 성동구에서 광진구, 도봉구에서 강북구, 구로구에서 금천구가 분구되어 관할구가 25개로 늘어났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한양조씨는
1985년에는 64,881가구 273,408명, 2000년에는 95,206가구 307,746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332,580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