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함안조씨(咸安趙氏)
    유래
     시조 : 조정(趙鼎)
    시조 조정(趙鼎)은 후당(後唐) 사람으로 신라 말기에 두 동생 조부(趙釜)와 조당을 데리고 절강사람 장길(張吉)과 함께 우리나라에 들어왔다고 한다. 그는 고려의 개국공신인 신숭겸, 배현경, 복지겸, 김선평, 권행 등과 교분이 두터웠다고 하며 합천에서 의병을 일으켜 931년 고창성(현 안동)에서 왕건을 도와 견훤을 대파하고 동경주현(東京州縣) 대부분을 항복받아 고려통일에 큰공을 세워 개국벽상공신(開國壁上功臣)으로 대장군이 되었다. 그래서 후손들이 함안에 살면서 본관을 함안으로 하고 있다.

    조선시대에 유명한 인물로는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인 여(旅)로 그는 시조의 10대손이다. 여의 후손은 모두 현달하였는데, 현손 종도(宗道)와 임도(任道)가 유명하다. 종도는 선조 때의 정유재란 때 의병을 모아 왜군과 싸우다 전사하였으며, 임도는 전원에 묻혀 학문에만 전념하다가 인조반정 후에 공조좌랑을 지냈다. 영조 때에는 시·서·화 삼절(三絶)로 이름난 영우(榮祐)가 있고, 조선 후기에는 화가로 산수·인물에 뛰어난 정규(廷奎)와 희룡(熙龍)이 있다.

    -안동의 칠현사(七賢祠), 동주의 충렬사(忠烈祠)에서 제향한다.
    인물
    조승소는 고려 우왕 때 문과에 급제하고, 원나라에 가서 저작랑(著作郞)을 지내다가 귀국하여 부여감무(扶餘監務)를 지냈다.
    조선 중종 때의 인물인 조연(趙淵)은 1510년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하고 음보로 등용되어 1529년 선릉삼봉(宣陵參奉)을 거쳐 뒤에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 유곡도찰방(幽谷道察訪) 등을 역임하였으며, 생육신(生六臣)의 한 사람인 조여(趙旅), 조임도(趙任道)는 인조반정 후에 공조좌랑(工曺佐郞), 조평(趙平)은 찰방(察訪), 조봉원(趙逢源)은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使)를 지냈다. 또 조영우(趙榮祐)는 1713년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하여 첨지중추(僉知中樞)를 지냈고, 조근(趙根)은 1666년 별시문과(別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충청도도사(忠淸道都事)를 지냈으며, 조영복(趙榮福)은 한성부우윤(漢城府右尹)을 역임하였다. 영조 때의 조중회(趙重晦)는 1736년 정시문과(庭試文科)로 급제, 대사헌(大司憲)을 거쳐 이조판서(吏曺判書)를 지냈다.
    조석진(趙錫晋)은 화가로 명성을 떨쳤으며, 산수, 인물, 화조 등에 모두 능했다. 고종의 초상화를 그린 공으로 영춘군수(永春郡守)가 되고, 품계가 정3품에 올랐다.
    독립운동가로서 이름을 드높인 조명하(趙明河)는 1963년 대한민국건국공로훈장단장을 수여받았고, 조용은(趙鏞殷)은 임시정부의장을 지내면서 시사촉진회(時事促進會)를 조직했다. 그는 해방 후에 국민의회의 상암위원회의장을 지내고, 1948년 남북협상에 찬동하여 평양에 갔으나 실패하고 1950년 5월에 있은 국회의원 선거에 성북구에서 출마하여 전국 최고득점으로 당선되었으나 6.25사변 때 납북되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조효동(趙孝仝) : 문과(文科) 세종29년(1447) 친시 병과(丙科)
     조참(趙參, 1473 癸巳生) : 문과(文科) 중종2년(1507) 식년시 병과(丙科)
     조강(趙講) : 문과(文科) 태종11년(1411) 식년시 동진사(同進士)
     조완식(趙完植, 1788 戊申生) : 문과(文科) 순조25년(1825) 식년시 병과(丙科)
     조시원(趙時瑗, 1627 丁卯生) : 문과(文科) 현종4년(1663) 식년시 병과(丙科)
     조성익(趙性翼, 1842 壬寅生) : 문과(文科) 고종29년(1892) 별시4 병과(丙科)
     조중명(趙重明, 1701 辛巳生) : 문과(文科) 영조26년(1750) 알성시 병과(丙科)
     조근(趙根, 1631 辛未生) : 문과(文科) 현종7년(1666) 별시2 을과(乙科)
     조영복(趙榮福, 1672 壬子生) : 문과(文科) 숙종40년(1714) 증광시 병과(丙科)
     조순(趙舜, 1467 丁亥生) : 문과(文科) 성종23년(1492) 식년시 병과(丙科)
    등 모두 139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32명, 무과 16명, 생원진사시 91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세거지
    -경북 청송군 현동면
    -경남 함안군 가야면 도항리
    -경남 함안군 군북면 하림리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남도 함안
    함안(咸安)은 경상남도 남부 중앙에 위치하는 지명으로 옛 함안군과 칠원현이 합하여 이루어진 지역이다. 삼한시대 변한(弁韓)의 땅이었으며, 가야연합국 중 아시량국(阿尸良國), 아라가야(阿羅伽倻)이었다. 이후 신라에 편입되어 아시량군(阿尸良郡)이 설치되었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함안군으로 개칭하였고, 현무현(玄武縣)縣)·의령현(宜寧縣)을 영현으로 관할하였다. 995년(고려 성종 14)에 함주(咸州)로 승격되었다가, 1018년(현종 9)에 다시 함안군으로 금주(金州: 金海)에 병합되었다. 1172년(명종 2)에 감무가 파견되면서 독립하였고, 1373년(공민왕 22)에 다시 함안군으로 승격하였다. 1505년(연산군 11)에 함안도호부(咸安都護府)가 되었다가, 1506년(중종 1)에 함안군이 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진주부 함안군과 칠원군이 되었다가, 1896년의 도제(道制) 실시로 경상남도에 소속되었다. 1906년 칠원군을 함안군에 통합했으며,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상봉(上奉)·하봉(下奉)·상사(上寺)의 3면(面)을 진주(晉州)에 예속시키고, 영산군 길곡면(吉谷面)의 사촌리(泗村里)·금암리(金巖里) 일부 및 마산부(馬山府) 내서면(內西面) 예곡리(禮谷里) 일부를 병합하였다. 1918년에 읍내면을 함안면으로 개칭하였다. 1933년 죽남면이 군북면으로 편입되었으며, 1973년 함안군 대산면(代山面) 산서리(山西里)를 가야면(伽倻面)에 편입하였다. 1979년에 가야면이 가야읍으로 승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함안조씨는
    1985년에는 56,433가구 231,729명, 2000년에는 81,048가구 259,196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282,890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