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함양조씨(咸陽趙氏)
    유래
    함양조씨(咸陽趙氏)에 대한 자료가 없습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조학(趙○, 1650 庚寅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25년(1699) 식년시 삼등(三等)
     조학(趙○, 1650 庚寅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25년(1699) 식년시 삼등(三等)
     조희오(趙熙五, 1832 壬辰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철종12년(1861) 식년시 이등(二等)
     조숙(趙璹, 1636 丙子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10년(1684) 식년시 삼등(三等)
     조언(趙彦)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명종1년(1546) 식년시 삼등(三等)
    * 모두 5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생원진사시 5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남도 함양
    함양(咸陽)은 경상남도 서부에 위치한 지명으로 신라 때는 속함군(速含郡) 또는 함성(含城)이라 하였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천령군(天嶺郡)이라 개칭하였고, 이안현(利安縣: 安陰)·운봉현(雲峰縣)을 영현으로 관할하였다. 고려 초에 허주(許州)로 개칭하였고, 983년(성종 2)에 허주도단련사(許州都團練使)로 승격하였으나 1010년(현종 1) 함양군으로 개칭하였고, 1172년(명종 2)에 함양현으로 강등되었다. 1395년(태조 4) 함양군으로 승격하였으며, 1629년(인조 7)에 현으로 바뀌었고 1729년(영조 5) 함양부(咸陽府)로 승격하였다가 1788년(정조 12) 다시 함양군으로 강등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진주부 함양군, 1986년 경상남도 함양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안의군(安義郡)에 있던 현내(縣內)·황곡(黃谷)·초점(草岾)·대대(大垈)·지대(知代)·서상(西上)·서하(西下) 등 7개 면을 통합해서 함양군으로 합병하였다. 1933년 위성면이 함양면으로 개칭되고, 1957년에는 석복면(席卜面)을 함양면에 통합하여 함양읍으로 승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함양조씨는
    1985년에는 859가구 3,900명, 2000년에는 3,478가구 11,412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2,189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