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충주지씨(忠州池氏)
    유래
     시조 : 지경(池鏡)
    시조 지경(池鏡, 903~1003, 시호는 선의, 자는 자운, 호는 암곡)은 중국 송나라 중원 홍농 사람으로 960년(고려 광종 11년)에 귀화했다. 당시 태학사로서 고려에 사신으로 왔다가 정착하여 벼슬이 금자광록대부 태보, 평장사에 이르렀다고 한다. 지경의 6세손인 지종해(池宗海)가 충주에 살았으며 고려 때 문하시랑평장사로 충주백에 봉해졌다. 그래서 후손들이 충주를 본관으로 하였다.
    또 본래는 충주 지씨였다가 고려 태조에게 충주 어씨로 성을 하사 받은 어중익(魚重翼)도 충주 지씨 6세이다. '충주지씨대동보'는 시조 지경의 아들에 지해관(海貫, 찬성사), 지도관(道貫, 평장사) 형제가 있고, 지해관의 아들에 지윤(胤, 안렴사), 지영(瀛, 부원수) 형제가 있으며, 지영의 아들에 지득상(得尙, 평장사), 지응상(應尙, 찬성사)이 있어 지득상의 손자가 지종해(평장사)이고 지응상의 손자가 지중익, 즉 어중익(평장사)으로 기록되어 있다.

    - 시조 지경의 묘는 평안도 중화 당악산 화산정에 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지흠(池欽, 1677 丁巳生) : 문과(文科) 숙종28년(1702) 함경도별시 을과(乙科)
     지천석(池天錫, 1620 庚申生) : 문과(文科) 숙종12년(1686) 별시2 을과(乙科)
     지달하(池達河) : 문과(文科) 세조11년(1465) 춘당대시 정과(丁科)
     지응룡(池應龍, 1722 壬寅生) : 문과(文科) 영조28년(1752) 정시 병과(丙科)
     지성해(池成海, 1565 乙丑生) : 문과(文科) 광해군10년(1618) 증광시 병과(丙科)
     지덕빈(池德斌, 1747 丁卯生) : 문과(文科) 영조50년(1774) 식년시 병과(丙科)
     지봉령(池鳳翎, 1838 戊戌生) : 문과(文科) 고종26년(1889) 알성시 병과(丙科)
     지석영(池錫永, 1855 乙卯生) : 문과(文科) 고종20년(1883) 식년시 을과(乙科)
     지붕현(池鵬鉉, 1857 丁巳生) : 문과(文科) 고종28년(1891) 증광시 을과(乙科)
     지덕해(池德海, 1583 癸未生) : 문과(文科) 인조2년(1624) 증광시 병과(丙科)
    등 모두 100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0명, 무과 39명, 생원진사시 31명, 역과 1명, 음양과 14명, 율과 5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36世
    재(載)
    대(大)
    37世
    현(鉉)
    호(鎬)
    38世
    구(求
    ) 영(永)
    39世
    근(根)
    식(植)
    40世
    환(煥)
    묵(默)
    41世
    배(培)
    철(喆)
    42世
    선(善)
    43世
    태(泰)
    44世
    수(秀)
    45世
    열(烈)
    46世
    균(均)
    47世
    -
    48世
    -
    49世
    -
    50世
    -
    51世
    -
    52世
    -
    53世
    -
    54世
    -
    55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37世孫은 36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충청북도 충주
    충주(忠州)는 충청북도 중앙부에 위치하는 지명이다. BC 3∼4세기에는 마한에 속하였다. 그 뒤 마한이 백제에 병합되었으나, 다시 고구려에 속해 475년(고구려 장수왕 63) 국원성(國原城)이라 하였다. 557년(신라 진흥왕 18) 국원소경(國原小京)이라 하였고, 757년(경덕왕 16) 중원소경(中原小京)이라 개칭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 충주라 개칭하였고, 983년(성종 2) 충주목(忠州牧)이라고 하였다. 995년(성종 14) 창화군(昌化軍)으로 바꾸고 절도사(節度使)를 파견하여 중원도(中原道)에 속하게 하였다. 1012년(현종 3)에 안무사로 바뀌었다가 1018년에 전국의 8개목 중 하나가 설치되어 양광도(楊廣道)에 소속되었다. 1254년(고종 41)에 국원경(國原京)으로 승격되었다가 뒤에 다시 목으로 환원되었으며 1310년(충선왕 2)에는 충주로 강등되었다. 1356년(공민왕 5)에 다시 충주목이 되었다. 1395년(태조 4) 충청도관찰사를 두었으며, 명종·광해군·인조·숙종·영조 등 여러 시기에 모반 등으로 인해 유신현(維新縣) 또는 충원현(忠原縣)으로 개칭되면서 현으로 강등되기도 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충주부 충주군이 되었다가, 1896년에 13도제 실시로 충주부가 폐지되었고 충청북도의 도청소재지가 되었다. 1908년(순종 2) 도청을 청주로 이전시키고 군수를 두었다. 1917년 충주군 읍내면이 충주면으로 개칭되었고, 1956년 7월 충주읍이 시로 승격되면서 나머지 지역은 중원군으로 분리되었다. 1989년 중원군 살미면 목벌리(木伐里)와 이류면 만정리(萬井里) 일부를 충주시에 편입하였고, 1995년 충주시와 중원군이 통합하여 충주시가 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충주지씨는
    1985년에는 28,314가구 118,430명, 2000년에는 36,937가구 118,211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48,144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