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강음김씨(江陰金氏)
    유래
     시조 : 김처곤(金處坤)
    시조 김처곤(金處坤)은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넷째 아들 대안군(大安君) 김은열(金殷說)의 후손으로 전할 뿐 문헌이 유실되어 세계를 알 수 없다. 그는 김양묵(金養默)의 아들로 1768년(영조 44) 정시문과에 병과로, 1800년(정조 24) 중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했다. 그를 시조로 하고 본관을 강음(江陰, 김천)으로 한 연유와 전후 세계는 전혀 알 수 없다.
    인물
    김근오(金根五)가 조선 철종 때에 진사를 지냈고, 김응룡(金應龍)이 서화에 능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김처곤(金處坤, 1743 癸亥生) : 문과(文科) 영조44년(1768) 정시 병과(丙科)
     김대위(金大○, 1645 乙酉生) : 무과(武科) 현종10년(1669) 정시 병과(丙科)
     김진명(金振鳴, 1634 甲戌生) : 무과(武科) 숙종21년(1695) 별시 병과(丙科)
     김근효(金根孝, 1830 庚寅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10년(1873) 식년시 삼등(三等)
    * 모두 4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명, 무과 2명, 생원진사시 1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김천
    김천(金川)이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강음김씨는
    1985년에는 0명, 2000년에는 2가구 6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246명으로 조사되었다.
    참고사항
    - 찰방 김정윤(金正允)의 후손으로 전하는 문헌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