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삼척진씨(三陟陳氏)
유래
시조 : 진경(陳鏡)
시조 진경(陳鏡)은 고려 태조때에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로 시중(侍中), 상서(尙書), 태보(太保) 등을 역임하고 이어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에 올랐다. 그의 선대에 대하여는 알 수 없으나, 진경(陳鏡)의 16세손 진의(陳懿)가 1296년(고려 충렬왕 2) 삼척군에 봉해진 것과, 조선 초에 의주 병마사(義州兵馬使)를 역임한 진충귀(陳忠貴)의 개국원종공신 녹권에 본관이 삼척으로 기록된 것으로 보아 여러 대에 걸쳐 삼척을 본관으로 하여 세계를 이어온 것으로 추측된다. 여양진씨(驪陽陳氏) 족보에는 시조 진총후(陳寵厚)의 증손 진택(陳澤)이 삼척군 진의(陳懿)의 증조라 하여 한 할아버지의 후손이라 하였으나, 1979년 발행한 삼척진씨족보에 의하면 여양진씨의 주장은 전후 계대가 맞지 않는다며 이를 부인하고 있다. 인물
조선 개국공신 충귀의 증손 진암수(陳巖壽)가 무과에 급제하여 연산군 때 임천 군수(林川郡守)를 역임하였고, 그의 아들 3형제가 모두 학문에 뛰어났는데, 둘째 아들 진극효는 학행이 뛰어나 사림의 추앙을 받았다 셋째 아들 진극성(陳克誠)은 조선조에 만호(萬戶)를 지냈으며, 그의 아들 진영암(陳永闇)은 지극한 효행으로 정려가 내려져 가문을 빛나게 하였다.
그밖에도 광해군의 혼정을 개탄하고 사퇴했다가 인조반정 후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에 오른 진여기(陳汝起)와 숙천 부사 진재성(陳再成), 지극한 효성으로 8년간이나 어버이의 병구환을 한 진성진(陳聖鎭), 이조 판서(吏曹參判) 진행은(陳行殷) 등이 삼척진씨의 대를 이어 가문을 더욱 빛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진관(陳瓘) : 문과(文科) 중종38년(1543) 식년시 병과(丙科)
진극충(陳克忠)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중종14년(1519) 식년시 이등(二等) 진필한(陳弼漢, 1601 辛丑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인조11년(1633) 증광시 삼등(三等) 진동철(陳東喆, 1730 庚戌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영조30년(1754) 증광시 삼등(三等) 진억(陳億)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중종29년(1534) 식년시 삼등(三等) 진행원(陳行遠, 1794 甲寅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순조19년(1819) 식년시 이등(二等) 진형복(陳亨福, 1700 庚辰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영조17년(1741) 식년시 삼등(三等) 진형록(陳亨祿, 1702 壬午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영조5년(1729) 식년시 삼등(三等) 진성기(陳聖基, 1675 乙卯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39년(1713) 증광시 삼등(三等) 진영언(陳永言)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명종4년(1549) 식년시 삼등(三等) 등 모두 12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명, 생원진사시 11명)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강원도 삼척
삼척(三陟)은 강원도 삼척시 일원의 옛 지명으로 진한의 실직국(悉直國)이 있던 지역이다. 102년(신라 파사왕 23) 신라에 합병되어 만약(滿若) 또는 파리(波利)로 불리었다. 505년(지증왕 6)에 실직주(悉直州)라 하였고, 639년(진덕여왕 8) 진주(眞珠)로 고쳤다가 757년(경덕왕 16)에는 삼척군으로 개칭하여 명주도독부(溟州都督府: 江陵) 관하에 두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는 척주(陟州)라 개칭하였고, 1018년(현종 9)에는 삼척현으로 강등되어 동계(東界)에 속하였다가 1377년(우왕 3)에 다시 삼척군으로 승격되었다. 1393년(태조 2) 삼척부로 승격되었고, 1413년(태종 13)에는 도호부가 설치되어 조선시대 동안 명맥이 이어졌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강릉부 삼척군이 되었고, 1896년 강원도 삼척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말곡면이 부내면으로 폐합되었다가 1917년 부내면이 삼척면으로 개칭되었다. 1980년에 삼척군 북평읍과 명주군 묵호읍이 통합되어 동해시로, 1981년 장성읍과 황지읍이 통합되어 태백시로 각각 승격되어 분리되었다. 1986년에는 삼척읍이 시로 승격되어 분리되었다. 1995년 삼척군이 삼척시에 통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삼척진씨는
1985년에는 1,306가구 5,699명, 2000년에는 2,178가구 7,198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0,252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