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양산진씨(梁山陳氏)
    유래
     시조 : 진보재(陳普才)
    시조 진보재(陳普才)는 본래 중국 양산(梁山) 사람으로, 원나라 때 면양에 살다가 관직에 임명되었으나 불사하고 양덕산으로 은거하였다. 그 후 명나라 태조 때 승상(丞相)에 추증되어 문렬이란 시호를 하사받았으며, 손자 진리(陳理)가 고려에 들어오자 공민왕이 전답과 노비를 내리고 평한군에 봉했다고 한다. 그 후 후손들이 선조의 고향인 양산(梁山)을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왔다.
    인물
    시조 진보재의 8세손 진홍범(陳弘範)의 아들 진봉의(陳鳳儀)가 종인부의 의빈(儀賓)이었고, 통덕랑 진복천(陳僕千)의 아들 진세진(陳世珍)은 부호군을 역임하였으며, 통덕랑을 지낸 아우 진세호(陳世浩), 부호군을 역임한 진세억(陳世億)이 있어 가문을 중흥시켰다. 이 외 세억의 증손인 진지창(陳智昌)은 무과에 급제하여 훈련원판관(訓鍊院判官), 만호(萬戶)를 지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진승남(陳承男, 1591 辛卯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진지창(陳智昌, 1624 甲子生)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진호민(陳好敏, 1609 己酉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진의길(陳義吉, 1607 丁未生) : 역과(譯科) 인조13년(1635) 증광시 ()
     진희승(陳熙昇, 1862 壬戌生) : 역과(譯科) 고종19년(1882) 증광시 ()
     진희창(陳熙昌, 1867 丁卯生) : 역과(譯科) 고종22년(1885) 식년시 ()
     진희면(陳熙冕, 1859 己未生) : 의과(醫科) 고종19년(1882) 식년시
     진경도(陳景圖, 1729 己酉生) : 음양과(陰陽科) 영조30년(1754) 증광시
     진의량(陳宜良, 1717 丁酉生) : 음양과(陰陽科) 영조49년(1773) 증광시
    * 모두 9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무과 3명, 역과 3명, 의과 1명, 음양과 2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중국 산동성
    양산은 중국 산동성 수장현 동남쪽에 위치한 지명으로 옛부터 천험(天險 : 땅의 형세가 천연적으로 험함)의 요지로 알려졌으며,「선화유사」에서 딴 수호전에 등장하는 송강과 오용 등 108명의 의사가 이곳 양산박에 회집하여 큰 사건을 일으켰다고 한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양산진씨는
    1985년에는 125가구 475명, 2000년에는 250가구 808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042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