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여양진씨(驪陽陳氏)
유래
시조 : 진총후(陳寵厚)
진씨는 원래 중국 송나라 때 복주 출신인 진수가 우윤 벼슬을 지내다 국난이 일어나자 우리나라에 건너와 여양현(현 충남 홍성군 장곡면) 더걍산 아래 정착하여 살았는데 그의 후손인 진총후가 고려 예종 때 이자겸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여양군에 봉해져서 그의 후손들이 진총후를 시조로 하고 본관을 여양으로 하였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진복창(陳復昌) : 문과(文科) 중종30년(1535) 별시3 갑과(甲科) 장원급제
진병섭(陳秉燮, 1834 甲午生) : 문과(文科) 철종2년(1851) 알성시 을과(乙科) 진두병(陳斗柄, 1663 癸卯生) : 문과(文科) 숙종28년(1702) 식년시 병과(丙科) 진문한(陳文翰) : 문과(文科) 중종23년(1528) 식년시 병과(丙科) 진상립(陳尙立, 1585 乙酉生) : 문과(文科) 인조7년(1629) 별시 병과(丙科) 진종시(陳宗蓍, 1843 癸卯生) : 문과(文科) 고종4년(1867) 함경도도과 병과(丙科) 진명한(陳溟翰, 1649 己丑生) : 문과(文科) 현종14년(1673) 식년시 병과(丙科) 진식(陳寔, 1519 己卯生) : 문과(文科) 명종2년(1547) 알성시 병과(丙科) 진익한(陳翼漢, 1677 丁巳生) : 문과(文科) 숙종40년(1714) 증광시 을과(乙科) 진갑현(陳甲鉉, 1874 甲戌生) : 문과(文科) 고종25년(1888) 별시 병과(丙科) 등 모두 41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3명, 무과 4명, 생원진사시 24명)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충청남도 홍성
여양(驪陽)은 충청남도 홍성(洪城) 남쪽에 위치하는 장곡면(長谷面) 일대의 옛 지명이다. 백제시대에 사시량현(沙尸良縣: 沙羅)이라 부르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신량(新良)으로 개칭하여 결성군(潔城郡: 結城)의 관할로 두었다. 고려 초에 여양현(驪陽縣: 黎陽縣)으로 바뀌었고, 1018년(현종 9)에 운주(運州: 洪城)로 폐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여양진씨는
1985년에는 24,189가구 100,233명, 2000년에는 30,492가구 97,372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10,403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