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연안차씨(延安車氏)
유래
시조 : 차효전(車孝全)
연안차씨의 시조는 차효전(孝全)이다. 고려 고종(高宗) 46년에 고을 사람 장군(將軍) 차송우(車松祐)가 위사(衛社)의 공이 있어 지복주사(知復州事)로 승격시켰다. 충선왕 2년에 연안부(延安府)가 되었는데, 이로써 관향이 되었다. 인물
연안차씨는 16세 차송우(車松祐)의 1자 차득규(車得珪)가 18세 차포온(車蒲溫)으로 이어지고 차포온의 네 명의 아들 차수동(車壽童), 차명동(車命童), 차종로(車宗老), 차안로(車安老)가 각각 문학공파(文學公派), 전서공파(典書公派), 월파공파(月波公派), 상장군공파(上將軍公派)의 파조가 되었고, 차송우의 2자 차덕규(車德珪)는 송림백공파(松林伯公派)의 파조가 되어 모두 5개파로 이루어져 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차운로(車雲輅, 1559 己未生) : 문과(文科) 선조16년(1583) 알성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차언보(車彦輔, 1712 壬辰生) : 문과(文科) 영조51년(1775) 정시 병과(丙科) 차신용(車信用, 1748 戊辰生) : 문과(文科) 정조1년(1777) 식년시 병과(丙科) 차진형(車珍衡, 1767 丁亥生) : 문과(文科) 순조7년(1807) 식년시 병과(丙科) 차재형(車載衡, 1860 庚申生) : 문과(文科) 고종22년(1885) 식년시 병과(丙科) 차기형(車驥衡, 1850 庚戌生) : 문과(文科) 고종10년(1873) 식년시 병과(丙科) 차이재(車以載, 1688 戊辰生) : 문과(文科) 경종3년(1723) 식년시 병과(丙科) 차두진(車斗鎭, 1860 庚申生) : 문과(文科) 고종16년(1879) 식년시 병과(丙科) 차봉운(車鳳運, 1737 丁巳生) : 문과(文科) 정조1년(1777) 식년시 병과(丙科) 차식(車軾, 1517 丁丑生) : 문과(文科) 중종38년(1543) 식년시 갑과(甲科) 등 모두 77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27명, 무과 5명, 생원진사시 42명, 음양과 2명, 율과 1명)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황해도 연백
연안(延安)은 황해도 연백군(延白郡) 일원의 옛 지명으로 고구려 때 동음홀(冬音忽) 또는 고염성(鼓鹽城)이라 부르다가 신라시대에 해고군(海皐郡)으로 바꾸었다. 고려에서는 염주(鹽州)·영응현(永膺縣)·복주(復州)·석주(碩州)·온주(溫州) 등으로 고쳐 불렀고, 1310년(충선왕 2)에 연안(延安)으로 고쳤다. 1413년(태종 13)에 연안도호부가 되었고,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연안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연안군은 다시 배천군(白川郡)과 합하여 연백군이 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연안차씨는
1985년에는 37,093가구 154,642명, 2000년에는 50,168가구 161,325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84,731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