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시조 : 채순희(蔡順禧)
시조 채순희(蔡順禧)는 고려시대에 평장사(平章事)를 지냈다.
일부에 알려지기로는 그의 선조는 중국 고신(高辛)씨의 아들 계(契)의 후손으로 기자(箕子)와 함께 우리나라에 왔다고 한다. 그밖의 사항은 알 수 없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광주광역시
광주(光州)는 전라남도 북서부에 위치한 지명으로 본래 백제시대에는 무진주(武珍州)이며 신라시대에 이르러 도독(都督)을 두었으며 757년(신라 경덕왕 16) 무주(武州)로 고쳤다. 892년(진성여왕 6)에는 견훤(甄萱)이 이곳에 후백제를 세워 도읍을 정하기도 하였으나, 940년(고려 태조 23) 태조가 후백제를 정벌하고 군현을 정비하면서 무진주를 광주(光州)로 개편하고 도독부를 두었다. 995년(성종 14) 관제개혁 때 해양현(海陽縣)이라 불렀고 1259년(고종 46) 기주(冀州: 冀陽州)라 고쳤다가 1275년(충렬왕 1) 다시 무주로 개칭하였다. 1310년(충선왕 2)에 화평부(化平府)로, 1362년(공민왕 11)에는 무진부(武珍府)로, 1373년(공민왕 22)에 이르러 광주목(光州牧)으로 개편되었다. 1430년(세종 12) 무진군으로 강등되었다가 1451년(문종 1)에 다시 광주목이 되고, 1489년(성종 20)에는 광주현으로 격하되었다가 1501년(연산군 7) 광주목으로 환원되었다. 1624년(인조 2)에는 광산현(光山縣)으로 편입되었다가 1634년에 다시 광주목으로 독립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나주부(羅州府) 관할의 광주군(光州郡)이 되었다가, 1896년 13도제 실시로 전라남도의 도청이 위치하면서 당시까지 전라도 남부지방의 중심지였던 나주를 대신하여 전라남도의 중심지로 성장하게 되었다. 1911년 광주면으로 신설되었고, 1935년 광주읍(光州邑)은 부(府)로 승격되었고, 광주군은 광산군(光山郡)이 되었다. 1949년 지방자치제 실시로 광주시가 되고 1986년 직할시로 승격되었다. 1988년에는 송정시와 광산군을 흡수하여 광산구를 신설하였고, 1995년 광주광역시로 개편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광주채씨는
1985년에는 8가구 47명, 2000년에는 141가구 418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4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