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이천채씨(利川蔡氏)에 대한 자료가 없습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채일상(蔡一祥, 1748 戊辰生) : 문과(文科) 정조14년(1790) 증광시 병과(丙科)
* 모두 1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명)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기도 이천
이천(利川)은 경기도 남동부에 위치하는 지명인데 본래 고구려의 영토로 475년(고구려 장수왕 63)에 남천현(南川縣: 일명 南買縣)이 설치되었다. 568년(신라 진흥황 29) 신라에 의해 남천주(南川州)로 바뀌고, 604년(진평왕 26) 북한산주(北漢山州)로 개칭되었다. 757년(경덕왕 16)에 황무현(黃武縣)으로 개칭하여 한주(漢州: 廣州)에 속하게 하였다.
935년(고려 태조 18) 태조가 후백제를 정벌하기 위해 지금의 남한강에 이르자, 서목(徐穆)이란 사람이 '이섭(利涉:강을 건너는 데 도움을 주다)'했다고 해서 그곳을 이천(利川)군으로 명칭을 바꾼다. 또한 태조가 군사를 이 고을에 주둔케 하여 역사(役事)를 할 때에 점을 쳐서 이로움을 얻었으므로 고을 이름을 이천(利川)이라 이름지어 내렸다고도 한다.
1257년(고종 44) 영창현(永昌縣)이라 개칭하였고, 1389년(공양왕 10) 남천현(南川縣)으로 바뀌었다가 조선에 와서 다시 이천현으로 되었다. 1444년(세종 26) 도호부(都護府)로 승격되었다가, 1613년(광해군 5) 현으로 강등되었고, 1623년(인조 1) 다시 도호부로 승격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충주부(忠州府) 이천군으로 되었고, 1896년에 경기도 이천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음죽군이 폐지되어 이천군에 합병되었다. 1996년 이천시로 승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이천채씨는
1985년에는 0명, 2000년에는 1가구 2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55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