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인천채씨(仁川蔡氏)
    유래
     시조 : 채선무(蔡先茂)
    시조 채선무(蔡先茂)는 고려 중기에 동지사를 지내고 동지추밀원사에 추증되었다. 그는 인천에서 살았으며, 후손 으로 고려말에 호조전서를 지내다가 조선이 개국하자 절개를 지켜 두문동으로 들어가 숨어지내던 채귀하를 중시조로 하고 본관을 인천으로 하였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채수(蔡壽, 1449 己巳生) : 문과(文科) 예종1년(1469) 추장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채사흠(蔡思欽, 1825 乙酉生) : 문과(文科) 고종5년(1868)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채무일(蔡無逸, 1496 丙辰生) : 문과(文科) 중종35년(1540) 식년시 병과(丙科)
     채락(蔡洛, 1502 壬戌生) : 문과(文科) 중종23년(1528) 식년시 병과(丙科)
     채장헌(蔡章獻, 1819 己卯生) : 문과(文科) 철종8년(1857) 정시 병과(丙科)
     채용(蔡容, 1556 丙辰生) : 문과(文科) 광해군4년(1612) 증광시 병과(丙科)
     채윤(蔡倫) : 문과(文科) 세종2년(1420) 식년시 동진사(同進士)
     채장오(蔡章五, 1824 甲申生) : 문과(文科) 고종16년(1879) 식년시 병과(丙科)
     채헌징(蔡獻徵, 1648 戊子生) : 문과(文科) 숙종5년(1679) 식년시 을과(乙科)
     채경승(蔡慶承, 1689 己巳生) : 문과(文科) 영조8년(1732) 정시 을과(乙科)
    등 모두 107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20명, 무과 8명, 생원진사시 79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30世
    종(種)
    31世
    태(泰)
    32世
    교(敎)
    33世
    직(稙)
    34世
    운(雲)
    35世
    균(均)
    36世
    화(和)
    37世
    구(求)
    38世
    규(奎)
    39世
    수(秀)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31世孫은 30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인천광역시
    인천(仁川)은 경기도 중서부 지역인 경기만에 돌출한 반도부에 위치하는 지명이다. 본래 백제의 미추홀(彌鄒忽) 또는 매소홀(買召忽)이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소성(邵城)으로 개칭하였고, 율진군(栗津郡: 始興)의 영현(領縣)이 되었다. 1018년(고려 현종 9) 수주(樹州)에 속하였으며, 숙종 때 경원군(慶源郡), 인종 때 인주(仁州), 1390년(공양왕 2)에 경원부(慶源府)로 계속 승격되었다. 1392년(태조 1) 인주로 환원하였고, 1413년(태종 13)에 인천군(仁川郡)이 되었으며 1460년(세조 6) 도호부(都護府)로 승격되었으나 숙종 때는 현으로 강등하였다가, 1698년(숙종 24) 다시 환원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인천부가 되어 인천군 등 12개군을 관할했으나, 1896년 도제 실시로 경기도 인천부가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인천의 관할구역이 구 제물포를 중심으로 한 인천항의 신시가지로 축소되었고 구(舊) 인천읍과 부평이 통합되어 부천군(富川郡)이 되었다. 1949년 인천시(仁川市)로 개칭되고 1963년 부천군(副川郡) 작약도를 편입하였으며 1968년부터 구제가 실시되었다. 1981년 7월 1일 직할시로 승격, 경기도에서 분리 독립하였고, 1995년 광역시로 개편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인천채씨는
    1985년에는 8,515가구 34,838명, 2000년에는 11,415가구 37,391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43,387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