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경산김씨(慶山金氏)
    유래
     시조 : 김육화(金育和)
    시조 김육화(金育和 : 초명은 김숙화)는 금자광록대부, 이부 상서(吏部尙書), 좌복야(左僕射 : 상서도성의 정2품 벼슬), 상장군(上將軍) 등을 역임하고 나라에 공을 세워 경산군(慶山君)에 봉해졌으므로, 후손들이 본관을 경산으로 삼게 되었다.

    그러나 신라 경순왕의 여덟째 아들 김추(金錘, 선산김씨(들성) 시조)의 10세손 김인궤(金仁軌)를 시조로 하는 설도 있으며, 1320년(고려 충숙왕 7년) 찬성사(贊成事)를 지내고 경산군(慶山君)에 봉해진 김이(金怡 : 1265∼1327)를 시조로 기록하는 문헌도 있다.

    -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에는 김한(金翰)을 시조로 기록하고 있다.
    인물
    김육화의 아들 김중전(金仲全)이 고려시대에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 문하부의 정2품 벼슬)를 역임하였고, 김중전의 아들 김경선(金敬先)은 예의판서(禮儀判書 : 예의사의 정3품 으뜸 벼슬)를 지냈으며, 손자 김영수(金英秀)는 평장사(平章事)를 거쳐 문하시랑(門下侍郞 : 고려 때 중서문하성의 종1품 벼슬)에 이르렀다.
    김영수의 아들 김익려(金益礪)는 삼사 좌윤(三司左尹 : 전곡의 출납과 회계를 맡아보던 관청의 종3품 벼슬)을 지냈으며, 김익려의 손자 문정공(文貞公) 김용(金龍)은 공민왕이 홍건적의 난을 피하여 남쪽으로 향할 때 중랑장(中郞將)으로 호종하여 일등공신(一等功臣)에 책록되었고, 사신으로 일본을 다녀와 호조 판서(戶曹判書)와 우의정(右議政)을 역임한 후 경산군(慶山君)에 봉해져서, 목사(牧使)를 지낸 아들 김약수와 함께 가문을 빛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김호(金瑚) : 문과(文科) 세종14년(1432) 식년시 동진사(同進士)
     김기룡(金起龍, 1595 乙未生) : 무과(武科) 인조2년(1624) 증광시 병과(丙科)
     김미년(金美年) : 율과(律科) 중종20년(1525) 식년시 ()
    * 모두 3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명, 무과 1명, 율과 1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19世
    배(培)
    20世
    락(樂)
    21世
    윤(潤)
    22世
    순(淳)
    23世
    진(振)
    24世
    종(鍾)
    25世
    26世
    -
    27世
    -
    28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0世孫은 19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경산
    경산(慶山)은 경상북도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압량소국(押梁小國) 또는 압독소국(押督小國)으로 불렸다가 102년(신라 파사왕 23)에 점령당하여 군이 설치되었다. 642년(선덕여왕 11) 김유신(金庾信)을 군주로 추대하고 압량주가 설치되었고, 750년(경덕왕 9)에 장산군(獐山郡)으로 개편되었다. 940년(고려 태조 23) 장산현(章山縣)으로 축소되었다가, 1310년(충선왕 2)에 경산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1317년(충숙왕 4)에는 국사 일연(一然)의 고향이라 하여 현령으로 승격되었으며, 1390년(공양왕 2)에는 공양왕비의 출신지라 하여 지군사(知郡事)로 승격되었다. 1391년 경산군으로 승격하였다. 1395년(태조 3) 다시 현으로 강등되어 계속 유지되어 왔다. 1601(선조 34)~08(선조 41)년에는 대구부에 잠시 병합되기도 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하양(河陽)·자인현(慈仁縣)과 함께 군으로 승격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하양·자인군 등을 경산군으로 병합하였고, 1956년 경산면이 경산읍으로 승격하였고, 1989년에 경산시로 승격되었고 1995년에는 경산군을 통합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경산김씨는
    1985년에는 1,135가구 5,159명, 2000년에는 2,393가구 7,550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559명으로 조사되었다.
    참고사항
    - 경산(京山)을 본관으로 하는 경산김씨도 있다. ☞ 경산김씨(京山金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