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간성최씨(杆城崔氏)
    유래
     시조 : 최무동(崔茂東), 최지순(崔之洵)
    간성최씨는 시조를 다르게 하는 두 계통이 있다.

    [ 최무동 계 ]
    시조 최무동(崔茂東)은 최흔봉(崔欣奉 : 강릉최씨의 전주계 시조)의 20세손이다. 최무동이 500여년전 강원도 간성에서 살다가 함경북도 온성으로 이사하여 집성촌을 이루어 살아왔는데 그의 후손들이 간성에서 왔다고 하여 강릉에서 분관하여 본관을 간성으로 하였다.

    [ 최지순(이원파) 계 ]
    시조 최지순(崔之洵)은 또 다른 강릉최씨의 시조 최필달(崔必達 : 경주계)의 15세손으로 고려 말 판도판서(版圖判書), 상호군(上浩軍), 첨의평리(僉議評理) 등을 역임하였고, 조선시대에는 호조참판(戶曹參判)을 지내고 간성군(杆城君)에 봉해졌다고 하나 문헌이 전하지 않아 확실치는 않다.
    세거지
    - 함경북도 온성군 남양면 세선동
    - 함경북도 온성군 남양면 향동
    - 함경북도 온성군 미포면 장덕동
    - 함경북도 온성군 미포면 풍인동
    - 함경북도 온성군 미포면 풍교동
    - 함경남도 이원군 서면 대하전리
    항렬자

     최무동(최흔봉을 1세) 계
    37世
    석(錫)
    38世
    덕(德)
    39世
    규(奎)
    40世
    영(永)
    41世
    근(槿)
    42世
    병(炳)
    43世
    기(基)
    44世
    종(鍾)
    45世
    호(浩)
    46世
    정(楨)
    47世
    주(炷)
    48世
    -
    49世
    -
    50世
    -
    51世
    -
    52世
    -
    53世
    -
    54世
    -
    55世
    -
    56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38世孫은 37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강원도 고성
    간성(杆城)은 강원도 북동부에 위치한 지명으로 고구려 때에는 수성군(䢘城郡) 또는 가라홀(加羅忽)이라 불리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는 수성현(守城縣)이라 했고, 1389년(고려 공양왕 1) 간성군(杆城郡)으로 고쳤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강릉부(江陵府)에 편입되었고, 1914년 군면 폐합으로 고성군(高城郡)이 간성군에 병합되었으나 1919년 간성군을 폐지하고 고성군으로 개편하였다. 이후 고성군의 일부로 간성면이 되었다가 1979년 간성읍으로 승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간성최씨는
    1985년에는 1,329가구 6,122명, 2000년에는 2,096가구 6,363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11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