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광주최씨(光州崔氏)
    유래
     시조 : 최득보(崔得寶)
    시조 최득보(崔得寶)는 경주최씨 시조 최치원(崔致遠)의 후손이라고 하나 고증할 수는 없다. 최득보는 조선시대에 장사랑(將仕郞)으로 훈도(訓導)를 역임하고 평안도 안주로 이사하여 정착하여 살면서 전거주지인 광주를 본관으로 하였다.
    인물
    최득보보의 아들 최덕강(崔德江)은 조선에서 통덕랑(通德郞)에 오르고 참의(參議)에 추증(追贈)되었으며 손자 치진산(崔進山)과 최인달(崔仁達)은 각각 참의(參議)와 군수(郡守)를 지냈다. 그외 최진산의 아들 최해옥(崔海玉)이 병조 참의(兵曹參議)를 지냈으며 손자 최한웅(崔漢雄)이 예조 참의(禮曹參議)를 지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최산두(崔山斗, 1483 癸卯生) : 문과(文科) 중종8년(1513) 별시 병과(丙科)
    * 모두 1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15世
    상(尙)
    산(山)
    16世
    구(耉)
    신(信)
    17世
    선(善)
    기(基)
    18世
    응(應)
    성(聖)
    19世
    영(永)
    엽(燁)
    20世
    -
    21世
    -
    22世
    -
    23世
    -
    24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16世孫은 15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광주광역시
    광주(光州)는 전라남도 북서부에 위치한 지명으로 본래 백제시대에는 무진주(武珍州)이며 신라시대에 이르러 도독(都督)을 두었으며 757년(신라 경덕왕 16) 무주(武州)로 고쳤다. 892년(진성여왕 6)에는 견훤(甄萱)이 이곳에 후백제를 세워 도읍을 정하기도 하였으나, 940년(고려 태조 23) 태조가 후백제를 정벌하고 군현을 정비하면서 무진주를 광주(光州)로 개편하고 도독부를 두었다. 995년(성종 14) 관제개혁 때 해양현(海陽縣)이라 불렀고 1259년(고종 46) 기주(冀州: 冀陽州)라 고쳤다가 1275년(충렬왕 1) 다시 무주로 개칭하였다. 1310년(충선왕 2)에 화평부(化平府)로, 1362년(공민왕 11)에는 무진부(武珍府)로, 1373년(공민왕 22)에 이르러 광주목(光州牧)으로 개편되었다. 1430년(세종 12) 무진군으로 강등되었다가 1451년(문종 1)에 다시 광주목이 되고, 1489년(성종 20)에는 광주현으로 격하되었다가 1501년(연산군 7) 광주목으로 환원되었다. 1624년(인조 2)에는 광산현(光山縣)으로 편입되었다가 1634년에 다시 광주목으로 독립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나주부(羅州府) 관할의 광주군(光州郡)이 되었다가, 1896년 13도제 실시로 전라남도의 도청이 위치하면서 당시까지 전라도 남부지방의 중심지였던 나주를 대신하여 전라남도의 중심지로 성장하게 되었다. 1911년 광주면으로 신설되었고, 1935년 광주읍(光州邑)은 부(府)로 승격되었고, 광주군은 광산군(光山郡)이 되었다. 1949년 지방자치제 실시로 광주시가 되고 1986년 직할시로 승격되었다. 1988년에는 송정시와 광산군을 흡수하여 광산구를 신설하였고, 1995년 광주광역시로 개편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광주최씨는
    1985년에는 1,251가구 5,583명, 2000년에는 801가구 2,655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561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