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나주최씨(羅州崔氏)
유래
나주최씨는 동성동본(同姓同本)이면서도 계보(系譜)를 달리하는 두 계통이 있다.
[ 청양파(靑陽派) ] 시조 최정원(崔井元)은 탐진최씨(耽津崔氏) 계파(系派)의 중시조로 조선 세종 때 진의부위(進義副尉)에 올랐다, 탐진최씨세보에 의하면 최정원(崔井元)은 탐진최씨 강진파(康津派)의 중시조인 최준량(崔浚良)계에 합보된 것으로 나타나 있고, 나주최씨세보에는 고양파(高陽派) 최정원(崔井元)의 손자 금남공(錦南公) 최부(崔溥)가 나주출신으로 성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호당(湖堂)에 뽑혀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한 후 교리(校理)에 올라 동국통감(東國通鑑)과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등의 편찬에 참여 했고, 왕의 명으로 표해록(漂海錄)을 저술하여 문명(文名)을 떨쳤으므로 후손들이 충남 보령과 청양등지에 세거하면서 금남공(錦南公) 최부(崔溥)의 출신지인 나주를 본관으로 삼아 분관하였다고 한다. [ 보령파(保寧派) ] 시조 최택(崔澤)은 조선 명종 때 진사(進士)를 지냈고,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오른 최논금(崔論金)을 1세조로 한다. 인물
역사상 두드러진 인물로는 인조 때 군자감정(軍資監正)을 역임했던 최용운(崔龍雲)과 효종 때 형조참의(形曹參議)를 지낸 최정순(崔廷洵)이 유명했으며, 숙종 때 공조참의(工曹參議)를 역임했던 최여익(崔汝翼)은 중추부사(中樞府事)에 오른 최종(崔淙)의 손자 최세전(崔世田, 숙종 때 공조 참의를 지냄), 영조 때의 군자감정(軍資監正) 최태직(崔泰稙),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최의현(崔毅鉉) 등과 함께 이름을 떨쳤고, 고종 때 호조참의(戶曹參議)를 지낸 최사권(崔事權)은 호조참판 최정달(崔正達)과 더불어 나주최씨의 전통을 이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최종환(崔宗煥, 1788 戊申生) : 문과(文科) 순조22년(1822) 식년시 병과(丙科)
최치상(崔致常, 1790 庚戌生) : 문과(文科) 순조25년(1825) 식년시 병과(丙科) 최세룡(崔世龍)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최중원(崔仲元, 1604 甲辰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최인천(崔仁天, 1603 癸卯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최애천(崔愛天, 1608 戊申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최득신(崔得信, 1608 戊申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최응형(崔應亨, 1581 辛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광해군2년(1610) 식년시 삼등(三等) 최현악(崔賢岳, 1862 壬戌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31년(1894) 식년시 삼등(三等) * 모두 9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2명, 무과 5명, 생원진사시 2명)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전라남도 나주
나주(羅州)는 전라남도 나주시(羅州市) 지역으로 백제 때 발라군(發羅郡)으로 불리었고, 뒤에 죽군성(竹軍城)으로 바뀌었다. 백제 멸망 후 당나라가 이곳에 대방주(帶方州)를 설치하였으며, 686년(신라 신문왕 6)에는 통의군(通義郡)으로, 757년(경덕왕 16) 이후로는 금산군(錦山郡) 또는 금성군(錦城郡)으로 부르며 무주(武州: 光州)의 관할로 두었고, 회진현(會津縣)·여황현(艅艎縣)·철야현(鐵冶縣) 등이 부속으로 영입되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나주로 지명이 바뀌었고, 983년(성종 2)에 나주목이 설치되었다. 995년(성종 14)에는 나주진해군절도사(羅州鎭海軍節度使)가 되었다. 1018년(현종 9) 다시 나주목으로 고쳐 5개의 속군(무안·담양·곡성·낙안·남평)과 11개의 속현(철야·반남·안노·복룡·원율·여황·창평·장산·회진·진원·화순)을 거느렸다. 1310년(충선왕 2)에 지주사(知州事)로 강등되었다가 1356년(공민왕 5)에 다시 목으로 승격하였다. 고려·조선시대를 통하여 주로 목(牧), 부(府)로서 전남지역 행정의 중심지를 이루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나주부로서 나주군 등을 관할하였고, 1981년 나주읍과 영산포읍이 통합하여 금성시로 승격하여 나주군에서 분리되었고, 금성시는 1985년 나주시로 개칭되었다. 1995년 나주시와 나주군이 통합되어 나주시로 개편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나주최씨는
1985년에는 761가구 3,241명, 2000년에는 1,922가구 6,018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3,608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