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동주최씨(東州崔氏, 철원)
유래
시조 : 최준옹(崔俊邕)
시조 최준옹(崔俊邕)은 소벌도리의 25세손으로 고려 태조 왕건을 도와 삼한공신 삼중대광 태사가 되었다. 최준옹의 증손자 최석(崔奭)이 1051년(문종 5)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좌습유(左拾遺)를 지내고, 1087년(선종 4) 감수국사(監修國史)를 지내고 동주(현 철원)에 살았으므로 후손들이 본관을 동주로 하였다. 철원최씨라고도 한다. 인물
- 최유청(崔惟淸) : 최준옹의 6세손으로 고려 예종 때 집현전 대학사를 지냈다.
- 최당(崔讜) : 최유청의 아들로 고려 신종 때 문하평장사를 지냈다. - 최선(崔詵) : 최유청의 아들로 문하시랑평장사를 지냈다. - 최영(崔瑩) : 고려 말기의 명장으로 최유청의 6세손이며 동원부원군 최원직(崔元直)의 아들이다. 그는 강직청렴한 명장이요 명재상으로서 왜구를 무찔러 전공을 세운 것을 시작으로, 10여 차례에 걸친 왜구 소탕과 함께 수차례의 내란에 공을 세웠으나 위화도에서 회군한 이성계(李成桂)의 군사와 맞섰다가 결국 참형을 당하고 말았다. - 최남선(崔南善) : 국학(國學)의 대가이다. 1908년 우리나라 최초의 종합잡지 "소년"을 창간했다. 신체시 "해에게서 소년에게"는 우리나라 신시(新詩)운동과 신문학 운동의 출발이다. 문학가, 역사가, 계몽운동가(啓蒙運動家)로 많은 업적을 남긴 그는 3.1운동 때 독립선언서를 만들었다. 주요 인물
세거지
- 경기도 파주군 적성면 율포리
- 강원도 강릉군 성덕면 병산리 - 경상북도 고령군 덕곡면 반성리 항렬자
정안공파(靖安公派) - 최당
원외공파(員外公派) - 최양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강원도 철원
동주(東州)는 철원(鐵原)의 옛 이름으로 강원도 북서부, 영서지방 북부에 위치하는 지명이다. 고구려 때 철원(鐵圓) 또는 모을동비군(毛乙冬非郡)이라 불렀으며,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철성군(鐵城郡)으로 고쳤다. 905년(효공왕 9)에 궁예(弓裔)가 이 지역으로 도읍을 옮기고 911년에 국호를 태봉(泰封)으로 고침으로써 이곳은 후삼국 시대의 중심지의 하나가 되었다. 고려가 개국되자 919년(태조 2)에 동주(東州)로 개칭되었고, 995년(성종 14)에 단련사(團練使)를 두었다가 1005년(목종 8)에 이를 없애고, 1018년(현종 9)에 지동주사(知東州事)를 설치하면서 김화군(金化郡)과 삭령현(朔寧縣) 등을 관할하였다. 이 후 5도양계제가 실시되어 교주도(交州道)에 속하였다. 1254년(고종 41)에 동주현으로 강등되었다가 뒤에 목으로 승격하고 1310년(충선왕 2)에 철원부(鐵原府)로 개편되었다. 1413년(태종 13)에 도호부(都護府)가 되어 경기도에서 강원도로 이속되었으며,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철원군으로 고쳤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따라 경기도 삭녕군(朔寧郡)의 내문(乃門)·인목(寅目)·마장(馬場)의 3개면을 병합하고, 동변과 송내를 합하여 동송읍으로 하였으며, 1931년에 서변면이 철원읍(鐵原邑)으로 승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동주최씨는
1985년에는 2,518가구 10,562명, 2000년에는 3,697가구 11,699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3,647명으로 조사되었다. 참고사항
지후공파(祗候公派) - 최후
정안공파(靖安公派) - 최당 문의공파(文懿公派) - 최선 원외공파(員外公派) - 최양 판윤공파(判尹公派)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