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밀양최씨(密陽崔氏)
    유래
     시조 : 최익대(崔益大)
    밀양 최씨는 경주최씨에서 분관된 계통으로 알려졌으나 성과 본관의 유래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밀양최씨계해보에 의하면 밀양최씨는 최치원(崔致遠, 경주 최씨의 시조)의 후손인 최현우(崔賢愚)의 15세손으로 기록된 최익대(崔益大)가 조선 숙종 때 절충장군(折衝將軍)으로 용양위 부호군(龍 衛副護軍)을 지냈으며, 경종이 즉위한 후 몸이 병약하고 자손이 없었으므로 왕세제(王世弟) 연잉군(후에 영조)을 책봉하고 세제의 대리청정을 주장하다가 소론(小論)으로부터 탄핵을 받았던 노론(老論)의 영수 김창집(金昌集, 당시 영의정)이 화를 입었던 사건에 연루되어 숨어지내다가 경기도 수리산에 들어가 본관과 이름을 바꾸어 사용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사실을 고증할 문헌이 없다.

    그 후 최익대(崔益大)는 영조가 즉위하자 사면되었고, 그의 후손들이 전국에 흩어져 살면서 3세손 최경륜(崔景崙)이 한성성적(漢城成籍)에 본관을 밀양으로 기록한 연유로 해서 최익대를 1세조 로 하고 밀양을 본관으로 삼게 되었다고 한다.
    인물
    가문의 대표적인 인물로는 통훈대부(通訓大夫)로 사복시정(司僕寺正)에 증직(贈職)된 최경륜(崔景崙)의 아들 최도신(崔道信)이 호조참의(戶曹參議)에 추증되었으며, 그의 손자 최치갑(崔致甲)은 1841년(헌종 7) 무과에 급제하여 가선대부(嘉善大夫)로 용양위 부호군(副護軍)을 거쳐 창덕궁위장(昌德宮衛將)을 역임하여 가문을 빛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최복립(崔福立, 1604 甲辰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최보(崔福, 1611 辛亥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최득영(崔得英, 1634 甲戌生) : 무과(武科) 현종13년(1672) 별시 병과(丙科)
     최인길(崔仁吉, 1599 己亥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최순남(崔順男, 1603 癸卯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최자근보(崔者斤福, 1588 戊子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최영민(崔永敏, 1635 乙亥生) : 무과(武科) 현종3년(1662) 증광시 병과(丙科)
     최득명(崔得明, 1610 庚戌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최순천(崔順天, 1600 庚子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최득룡(崔得龍, 1596 丙申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등 모두 15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무과 12명, 생원진사시 3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남도 밀양
    밀양(密陽)은 지금의 밀양시 일원에 있던 지명으로 삼한시대에 변한(弁韓)의 일부로 가락국(駕洛國)에 속했으며 미리미동국(彌離彌東國)이 있었다고 한다. 법흥왕 때 신라에 병합되어 추화군(推火郡, 밀벌 또는 미리벌)이 설치되었다가, 757년(경덕왕 16)에 밀성군(密城郡)으로 개편하였다. 995년(고려 성종 16)에는 밀주(密州)로 개칭하였고, 1018년(현종 9)에 밀성군(密城郡)으로 개편되었다. 1275년(충렬왕 1)에는 군민의 모반 사건으로 귀화부곡(歸化部曲)으로 강등되어 계림부(鷄林府: 慶州)에 편입되었다가 후에 현으로 승격하였다. 1285년에는 군으로 승격되었으나 다시 현으로 강등되었다가 1390년(공양왕 2)에 밀양부로 승격하였다. 조선 1415년(태종 15)에 밀양도호부가 되었다가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경상남도 밀양군이 되었다. 1918년에는 부내면이 밀양면으로 개칭되고 1931년에 밀양읍으로, 1989년 시로 승격하여 독립하였다. 1995년 밀양군이 밀양시에 통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밀양최씨는
    1985년에는 388가구 1,843명, 2000년에는 884가구 2,993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4,743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