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삭녕최씨(朔寧崔氏)
    유래
     시조 : 최천로(崔天老)
    시조 최천로(崔天老)는 고려 때 평장사를 지냈다. 그의 아들 최유가(崔兪嘉)가 고려 명종 때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지내고 삭녕에서 대대로 살았으므로 본관을 삭녕으로 하였다.

    최유가 이후 중간 세계가 전해지지 않아 친어모군낭장(親禦侮軍郎將) 최선보(崔善甫)를 1세조로 하는 낭장공파와 함경전부사(含慶殿副使) 최연(崔珚)을 1세조로 하는 부사공파의 두 파가 있다.
    인물
    - 최항(崔恒) : 집현전 부수찬(副修撰)으로 훈민정음 창제에 참여하였고 영의정을 두 차례나 역임하였다.
    - 최흥원(崔興源) : 최항의 증손으로 선조 때 유성룡(柳成龍)의 뒤를 이어 영의정을 역임하였다.
    - 최한기(崔漢綺) : 최항의 15세손이며 조선 실학의 거두로 영조,정조 때에 융성했던 실학이 학문으로서 이론적, 사상적으로 미숙하던 것을 철저한 경험주의 철학을 바탕으로 무실사상(務實思想)을 전개하여 실학의 체계를 확립한 학자이다. 역사학자들이 그를 가리켜 '실학사상과 개화사상의 가교자(架橋者)'라 평할 만큼 그는 한국 사상사에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최항(崔恒, 1409 己丑生) : 문과(文科) 세종16년(1434) 알성시 을과(乙科) 장원급제
     최계옹(崔啓翁, 1654 甲午生) : 문과(文科) 숙종7년(1681) 식년시 병과(丙科)
     최동립(崔東立, 1557 丁巳生) : 문과(文科) 선조25년(1592) 별시 병과(丙科)
     최영호(崔永灝) : 문과(文科) 성종8년(1477) 춘당대시 병과(丙科)
     최현중(崔顯重, 1745 乙丑生) : 문과(文科) 영조51년(1775) 별시2 병과(丙科)
     최병철(崔炳哲, 1862 壬戌生) : 문과(文科) 고종29년(1892) 알성시 병과(丙科)
     최병대(崔柄大, 1820 庚辰生) : 문과(文科) 철종13년(1862) 정시 병과(丙科)
     최훤(崔○, 1732 壬子生) : 문과(文科) 영조49년(1773) 증광시 병과(丙科)
     최계훈(崔繼勳) : 문과(文科) 명종8년(1553) 별시 병과(丙科)
     최호(崔○) : 문과(文科) 광해군13년(1621) 별시 병과(丙科)
    등 모두 122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33명, 무과 11명, 생원진사시 73명, 역과 3명, 의과 1명, 음양과 1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세거지
    - 경상남도 사천군 사천면, 정동면, 사남면
    -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간현리
    -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도마리
    - 전라남도 구례군 용방면 신도리
    - 전라북도 남원시 사매면 계수리
    - 전라북도 남원시 이백면 효기리
    - 전라북도 군산시 성산면 고봉리
    - 전라북도 완주군 이서면 신풍리
    - 전라북도 임실군 삼계면 신정리
    - 전라북도 정읍시 옹동면 산성리
    항렬자

     통일항렬(1981년)
    25世
    현(鉉)○
    26世
    ○수(洙)
    27世
    환(桓)○
    28世
    ○섭(燮)
    29世
    재(載)○
    30世
    승(丞)○
    31世
    ○운(雲)
    32世
    춘(春)○
    33世
    ○헌(憲)
    34世
    오(梧)○
    35世
    ○경(京)
    36世
    순(純)○
    37世
    ○용(容)
    38世
    원(元)○
    39世
    ○탁(卓)
    40世
    -
    41世
    -
    42世
    -
    43世
    -
    44世
    -

     통일항렬(1957년)
    25世
    진(鎭)○
    26世
    ○수(洙)
    27世
    상(相)○
    28世
    ○환(煥)
    29世
    규(奎)○
    30世
    ○호(鎬)
    31世
    순(淳)○
    32世
    ○표(杓)
    33世
    영(榮)○
    34世
    ○재(載)

     낭장공파
    19世
    우(遇)○
    20世
    ○구(九)
    21世
    병(炳)○
    22世
    ○우(宇)
    23世
    성(成)○
    24世
    ○범(範)
    25世
    강(康)○
    26世
    ○신(新)
    27世
    성(聖)○
    28世
    ○규(揆)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0世孫은 19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기도 연천
    삭녕(朔寧)은 경기도 연천군(漣川郡)과 강원도 철원군(鐵原郡) 일부지역에 위치했던 지명이다. 고구려 때에 소읍두현(所邑豆縣)이라 불리우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삭읍(朔邑)으로 개칭되어 토산군(兎山郡)의 영현이 되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삭녕으로 이름을 바꾸고, 1018년(현종 9)에는 동주(東州: 鐵原)에 병합되었다가 1107년(예종 2)에 승령현(僧嶺縣)으로 이속되었다. 1413년(태종 14)에 지군사(知郡事)로 승격하여 승령현을 병합하였고, 1414년에 안협현(安峽縣)을 합쳐서 안삭군(安朔郡)이 되었다. 1416년에는 안협현을 분리하여 부활시키고 삭령군으로 개편되었다. 1895년(고종 32)에 지방제도 개정으로 개성부 삭녕군, 1896년에 경기도 삭녕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삭녕군이 폐지되어 내문면(內文面), 인목면(寅目面), 마장면(馬場面)은 강원도 철원군에 속하였고, 나머지는 연천군에 병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삭녕최씨는
    1985년에는 9,027가구 37,872명, 2000년에는 12,055가구 38,736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51,525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