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시조 : 최응(崔凝), 최무철(崔武哲)
시조 최응(崔凝)은 개성최씨(開城崔氏)의 시조인 최우달(崔佑達)의 아들이다.
최응은 태조 왕건을 도와 고려 건국에 공을 세워 벼슬이 내봉경(內奉卿)에 이르렀고, 태조의 총애를 받았으며, 뒤에 대광태자태부(大匡太子太傅)에 추증되었다. 그러나 그 후대의 기록이 전하지 않아 후손 최효동(崔孝動)을 1세조로하고 개성최씨에서 분관하여 대를 이어오고 있다.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에는 조선에서 훈련원주부(訓練院主簿)를 역임한 최무철(崔武哲)을 시조로 기록하고 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최제항(崔齊恒, 1690 庚午生) : 문과(文科) 숙종41년(1715) 식년시 병과(丙科)
최제일(崔齊一, 1687 丁卯生) : 문과(文科) 영조2년(1726) 식년시 병과(丙科)
최진호(崔震浩, 1652 壬辰生) : 무과(武科) 숙종10년(1684) 식년시 병과(丙科)
최수항(崔秀恒, 1647 丁亥生) : 무과(武科) 숙종4년(1678) 증광시 병과(丙科)
최상열(崔象說, 1844 甲辰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22년(1885) 식년시 일등(一等) 장원급제
최경필(崔景弼, 1751 辛未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정조1년(1777) 증광시 삼등(三等)
최치남(崔致南, 1874 甲戌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31년(1894) 식년시 삼등(三等)
* 모두 7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2명, 무과 2명, 생원진사시 3명)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항렬자
16世
재(載)
|
17世
진(鎭)
|
18世
영(泳) 제(濟)
|
19世
근(根)
|
20世
희(熙)
|
21世
철(喆)
|
22世
련(鍊)
|
23世
순(淳)
|
24世
주(柱)
|
25世
형(炯)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17世孫은 16代孫)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평안남도 중화
상원(祥原)은 평안남도 중화군(中和郡)에 속해 있는 지명으로 고구려 때에는 식달현(息達縣)이라 불렸고, 신라 헌덕왕 때 토산현(土山縣)으로 고쳐 부르다가, 1018년(현종 9)에 황주(黃州)의 영혀이 되었다가, 1322년(고려 충숙왕 9)에 공신인 조인규(趙仁規)의 고향이라 하여 상원군(祥原郡)이 되었다. 1914년 중화군에 합병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상원최씨는
1985년에는 89가구 360명, 2000년에는 431가구 1,390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573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