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수성최씨(隋城崔氏)
유래
시조 : 최영규(崔永奎)
시조 최영규(崔永奎. 시호는 문혜)의 원래 성씨는 김씨이다. 그는 경주김씨에서 분적한 안동김씨의 후예로 신라 경순왕의 11세손으로 1261년(고려 원종 2년) 문과에 급제하고 형조전서겸 보문각 대경으로 있으면서 서경에서 명망이 높았다. 충렬왕 때 수원 일대가 기강이 퇴폐하고 인륜을 지키지 않아 왕이 개탄하고 '군신 가운데 누가 이를 다스려 풍속을 순화 하겠느냐?' 하니 그가 자청하여 호장으로 부사 안설과 함께 효도로 인도하고 의리로 설복하니 1년이 못되어 크게 변했다. 왕이 가상히 여겨 1302년(충렬왕 28년) 포상을 하고 그공이 최외와 같다 하여 최씨 성을 내리고 수성백에 봉했다. 그래서 후손들이 그를 시조로 하고 본관을 수성으로 하였다. 수성은 수원의 옛 이름이다. - 같은 혈손이면서 또 다른 계통이 있는데 고려 때 부정을 지낸 최거경을 1세조로 하는 계통이 있다. - 최영규의 묘소는 경기도 화성군 매송면 어천리에 있다. 인물
최원개는 공민왕 때 시무 18책을 상소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낙향, 후학 양성에 힘썼다. 그의 아우 최문개도 벼슬을 떠나 학문에 전념했다. 최희량이 임진왜란 때 쓴‘파왜보첩’은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최인휴(崔麟休, 1862 壬戌生) : 문과(文科) 고종24년(1887) 별시 병과(丙科)
최한응(崔漢膺, 1869 己巳生) : 문과(文科) 고종29년(1892) 별시4 병과(丙科) 최종호(崔宗鎬, 1848 戊申生) : 문과(文科) 고종27년(1890) 별시 병과(丙科) 최준항(崔峻恒, 1664 甲辰生) : 무과(武科) 숙종10년(1684) 정시 을과(乙科) 최도형(崔道亨, 1678 戊午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28년(1702) 식년시 최도문(崔道文, 1676 丙辰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36년(1710) 증광시 이등(二等) 최윤수(崔胤秀, 1775 乙未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순조5년(1805) 증광시 삼등(三等) 최일창(崔日昌, 1767 丁亥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순조3년(1803) 증광시 이등(二等) 최치백(崔致白, 1734 甲寅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영조44년(1768) 식년시 이등(二等) 최내수(崔乃秀, 1760 庚辰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정조7년(1783) 증광시 이등(二等) 등 모두 29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3명, 무과 1명, 생원진사시 18명, 음양과 7명) 세거지
시조 최영규의 5세손 최 경이 평택시 송탄으로 옮겨간 귀 현재도 후손들이 많이 살고 있다. 이들은 안양공파의 직계 후손이다. 가산공파와 찬성공파도 모두 송탄에서 뿌리를 내리다 인근으로 옮겨갔다. 유수공파는 최거경이 과천에 살다가 고향인 나주로 옮겨갔다.
항렬자
최영규계
최거경계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기도 수원
수성(隋城)은 경기도 중남부에 위치하며 현재 수원(水原)의 옛 이름이다. 삼국시대에는 매홀군(買忽郡)이었으며, 757년(신라 경덕왕 16)에는 수성군(水城郡)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940년(고려 태조 23) 수주(水州)로, 1271년(원종 12)에 수원도호부(水原都護府)로 승격되었다가 후에 수주목(水州牧)이 되었다가, 1310년(충선왕 2) 수원부로 되었다. 1362년(공민왕 11)에는 군으로 환원되었다. 1413년(태종 13)에 다시 도호부로 고쳤고, 세조 때에는 진(鎭)을 두었으며, 1789년(정조 13)에 정조는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을 양주에서 수원의 진산인 화산(華山)으로 옮기고, 팔달산 동측으로 수원의 읍치를 이전하였다. 1793년에는 수원을 개성부·강화부·광주부와 같은 지위인 유수부(留守府)로 승격시키고, 1794년부터 수원성 축성을 시작하였다. 1796년에 축성을 완료하여 수원은 새로운 성곽도시로 변모했으며, 옛 읍성의 전형적인 모습을 오늘날까지도 보여주고 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인천부 관할의 수원군으로 되었다가, 1896년 경기도 수원군이 되었다. 1931년 수원면(水原面)이 수원읍(水原邑)으로 승격되었고, 1949년 수원군을 분할하여 수원시로 승격시키고 나머지 지역은 화성군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1967년에 경기도청이 옮겨옴에 따라 수원은 명실상부한 경기도의 중심지가 되었다. 1988년 구제 실시로 권선구와 장안구를 설치하고, 1993년 팔달구(八達區)를 설치하였다. 1995년 화성군 태안읍 영통리가 팔달구로, 화성군 반월면 당수리·입북리가 권선구로 편입되어 시역이 확장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수성최씨는
1985년에는 10,619가구 44,004명, 2000년에는 15,964가구 51,780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61,231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