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수원최씨(水原崔氏)
    유래
     시조 : 최상저(崔尙翥)
    수원 최씨는 시조를 달리하는 두 계통이 있다.

    시조 최상저(崔尙翥)는 고려 예종 때 수주(水州 : 수원)의 호장(戶長)이다.
    최상저는 김칠(金七)·최승규(崔承珪) 등과 함께 수주(水州)를 대표하는 존재이다.

    고려사에는 다음과 같이 전한다. 최상저가 사냥 나갔다가 범에게 물려 죽자 그의 아들 열다섯 살배기 최루백(崔婁伯)이 범을 잡으려고 했다. 모친이 만류했지만 최루백은 부친의 원수를 어찌 갚지 않겠냐며 바로 도끼를 메고 범의 뒤를 밟아가니 범은 이미 배불리 먹고 누워 있었다.

    최루백이 곧장 나아가, '네가 나의 부친을 잡아 먹었으니 나도 마땅히 너를 잡아먹어야겠다.'고 꾸짖었다. 이 말을 들은 범이 꼬리를 흔들며 엎드리자 도끼로 내려쳐 죽인 다음 배를 갈라 항아리에 범의 고기를 채워 개울가에 묻었다. 또 부친의 뼈와 살을 골라내어 그릇에 담아 홍법산(弘法山) 서쪽에 장사지낸 후 여막을 짓고 3년 동안 시묘(侍墓)하였다.

    최상저의 유허비는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분천리 165-1에 있다.

    최정(崔靖)을 시조로 하는 계통도 있다. 고려 때 산원동정(散員同正)을 지냈으나 그의 선대에 대해서는 알 수가 없다. 최정의 고향이 수원이므로 본관을 수원으로 하였다.
    인물
     최루백(崔婁伯) : 1205년(희종 1년)에 태어난 최루백은 과거에 급제한 후 의종 급제하여 의종 때 기거사인(起居舍人)에 승진하였다. 1153년(의종 7)에는 기거사인으로 사신이 되어 금나라에 가서 용흥절(龍興節)을 축하하였다. 뒤에 한림학사(翰林學士)에 이르렀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최치중(崔致重, 1672 壬子生) : 문과(文科) 경종1년(1721) 증광시 을과(乙科)
     최충원(崔忠元, 1564 甲子生) : 문과(文科) 선조29년(1596) 정시 병과(丙科)
     최보한(崔輔漢) : 문과(文科) 중종19년(1524) 별시 병과(丙科)
     최반(崔○, 1649 己丑生) : 문과(文科) 현종10년(1669) 식년시 병과(丙科)
     최태후(崔泰厚, 1656 丙申生) : 문과(文科) 숙종16년(1690) 식년시 병과(丙科)
     최정원(崔貞元, 1570 庚午生) : 문과(文科) 광해군1년(1609) 증광시 병과(丙科)
     최우경(崔遇慶, 1528 戊子生) : 문과(文科) 명종13년(1558) 식년시 병과(丙科)
     최위(崔暐, 1682 壬戌生) : 문과(文科) 경종1년(1721) 증광시 병과(丙科)
     최선(崔○, 1657 丁酉生) : 문과(文科) 숙종13년(1687) 식년시 병과(丙科)
     최희열(崔希說, 1536 丙申生) : 문과(文科) 선조15년(1582) 식년시 병과(丙科)
    등 모두 172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20명, 무과 97명, 생원진사시 49명, 역과 1명, 음양과 5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세거지
     경기도 광주시 쌍령동
     경기도 화성시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화흥리, 정도리
     전라남도 무안군 몽탄면 다산리
     전라남도 영광군 홍농면 진덕리
     전라남도 장성군 삼계면 부성리
     함경남도 서천군 북두일면 덕응리, 용양리
     함경북도 명천군 아간면 거문동
     함경북도 성진군 학성면 성현동, 탑하동
     함경북도 성진군 학증면 송중동, 학서면 원평동
    항렬자
    20世
    처(處)
    종(宗)
    21世
    천(天)
    붕(鵬)
    22世
    남(南)
    준(俊)
    23世
    용(龍)
    제(?)
    24世
    석(錫)
    학(學)
    25世
    활(活)
    시(時)
    26世
    진(鎭)
    27世
    -
    28世
    -
    29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1世孫은 20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기도 수원
    수원(水原)은 경기도 중남부에 위치하며, 수성(隋城)이라고도 하였다. 삼국시대에는 매홀군(買忽郡), 757년(신라 경덕왕 16)에는 수성군(水城郡)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940년(고려 태조 23) 수주(水州)로, 1271년(원종 12)에 수원도호부(水原都護府)로 승격되었다가 후에 수주목(水州牧)이 되었다가, 1310년(충선왕 2) 수원부로 되었다. 1362년(공민왕 11)에는 군으로 환원되었다. 1413년(태종 13)에 다시 도호부로 고쳤고, 세조 때에는 진(鎭)을 두었으며, 1789년(정조 13)에 정조는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을 양주에서 수원의 진산인 화산(華山)으로 옮기고, 팔달산 동측으로 수원의 읍치를 이전하였다. 1793년에는 수원을 개성부·강화부·광주부와 같은 지위인 유수부(留守府)로 승격시키고, 1794년부터 수원성 축성을 시작하였다. 1796년에 축성을 완료하여 수원은 새로운 성곽도시로 변모했으며, 옛 읍성의 전형적인 모습을 오늘날까지도 보여주고 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인천부 관할의 수원군으로 되었다가, 1896년 경기도 수원군이 되었다. 1931년 수원면(水原面)이 수원읍(水原邑)으로 승격되었고, 1949년 수원군을 분할하여 수원시로 승격시키고 나머지 지역은 화성군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1967년에 경기도청이 옮겨옴에 따라 수원은 명실상부한 경기도의 중심지가 되었다. 1988년 구제 실시로 권선구와 장안구를 설치하고, 1993년 팔달구(八達區)를 설치하였다. 1995년 화성군 태안읍 영통리가 팔달구로, 화성군 반월면 당수리·입북리가 권선구로 편입되어 시역이 확장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수원최씨는
    1985년에는 3,558가구 15,442명, 2000년에는 3,976가구 13,156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4,687명으로 조사되었다.
    참고사항
     최정(崔靖)계 : 서초파(西初派, 최유한), 명천파(明川派, 최유정), 서인파(西仁派, 최옥정), 정파(貞派, 최철손)
     최상저(崔尙翥)계 : 참판공파, 천민공파(天民公派), 진사공파(進士公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