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양주최씨(楊州崔氏)
유래
시조 : 최억(崔億)
시조 최억(崔億)의 시호는 문경(文敬)으로 소벌도리(蘇伐都利)의 후손이다. 최억은 학문과 덕행이 높아 태사(太師)에 천거되고 1353년(고려 공민왕 2년)에 호부상서(戶部尙書)로 양주군에 봉해져서 후손들이 본관을 양주로 하였다. - 묘소는 충북 청원군에 있다. 인물
최억(崔億)의 아들 최연(崔淵)이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역임했고, 손자 최숙(崔淑)은 병조전서(兵曹典書)를 지냈으며, 증손 최경운(崔慶雲)은 공조전서(工曹典書), 최경운의 아들 최항(崔沆)은 집의(執義)를 역임하였다.
최정안(崔井安)은 1433년(세종 15) 우정언(右 正言)을 거쳐 1437년(세종 19) 이천(李蕆)의 종사관으로 함경도에 침투한 야인(野人) 정벌에 공을 세웠으며 그후 벼슬이 부사직(副司直)에 이르렀다. 최정안의 동생 최정연(崔井涓)은 군수(郡守)를 지냈으며 최정연의 아들 최결(崔潔)은 감찰(監察)을 역임하였다. 최혼(崔渾)의 아들 최홍도(崔弘渡) 는 1539년(중종 34) 별시문과에 급제하여 1545년(인종 1) 저작(著作)을 거쳐 1564년(명종 19) 부정(副正)이 되었다가 동래부사 (東萊府使)를 역임한 후 부제학(副提學)에 이르렀다. 최홍도(崔弘渡)의 동생 최홍개(崔弘漑)는 임진왜란 때 순절하여 승정원 좌승지(承政院左承旨)에 추증되었다. 후손 최정걸(崔挺傑)은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남한산성으로 왕을 호 종(扈從) 하였으며 적군을 쳐부수는 데 용맹이 뛰어나 많은 공훈을 세웠다. 그외 최완(崔浣)은 조선 때 감찰(監察)을 역임했으며, 최정해(崔挺海)는 절제사(節制使)를, 최극태(崔克泰)는 군수를, 최선태(崔先泰)는 부사(府使)를 지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최석우(崔錫祐, 1618 戊午生) : 문과(文科) 효종3년(1652) 증광시 병과(丙科)
최정안(崔井安) : 문과(文科) 세종9년(1427) 친시 을과(乙科) 최홍도(崔弘渡) : 문과(文科) 중종34년(1539) 별시2 병과(丙科) 최유(崔洧) : 문과(文科) 세종23년(1441) 식년시 정과(丁科) 최자숙(崔自淑) : 문과(文科) 연산군1년(1495) 별시 을과(乙科) 최완(崔浣, 1570 庚午生) : 무과(武科) 광해군4년(1612)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최정식(崔廷植, 1603 癸卯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최의남(崔義男, 1585 乙酉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최수(崔秀, 1537 丁酉生) : 무과(武科) 선조16년(1583) 별시 병과(丙科) 최윤립(崔允立, 1607 丁未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을과(乙科) 등 모두 24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5명, 무과 10명, 생원진사시 9명) 항렬자
정연공파
정안공파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기도 양주
양주(楊州)는 경기도 중남부에 위치한 지명으로 백제 때에는 매성군(買城郡) 또는 마홀(馬忽)이 있었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내소군(來蘇郡)으로 바꾸었다. 고려시대에 들어 태조 때에 한양군을 견주(見州)로 승격시키고, 1018년(현종 9)에 견주를 양주에 편입하였다. 1394년(태조 3)에 수도를 한양(漢陽)에 정하고, 한성부(漢城府)를 설치하게 되자, 한양부(漢陽府)를 동촌 대동리로 옮기고 양주(楊州)로 개편했으며, 얼마 후 다시 읍의 중심지를 견주(見州)의 옛 터(지금 양주시 고읍동 일대)로 옮기고 1413년(태종 13)에 양주도호부(楊州都護府)로 승격하였다. 1430년(세종 12)에는 양주목으로 승격하고, 파주(坡州)와 고양군(高陽郡) 이외 영평(永平)·포천(抱川) 등의 5개 현을 관할하였다. 1504년(연산군 10)에 양주를 없앴다가 1506년(중종 1)에 복구하면서 중심지를 불곡산(佛谷山) 남쪽 유양리로 옮겼다. 양주의 별호는 광릉(廣陵)이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한성부 양주군이 되었고, 1896년에 경기도 양주군이 되었다. 1942년에 양주면을 의정부읍으로 승격시켰으며, 1946년에는 파주군의 남면을 편입하였다. 1963년 이담면을 동두천읍으로 승격하고, 수동면을 새로 설치하였다. 1980년에 일부 읍·면을 분할하여 남양주군으로 신설, 독립시켰고 1981년 의정부읍을 시로 승격시켜 양주군에서 독립시켰다. 2000년 주내면이 양주읍으로 승격했고, 2003년 양주군이 양주시로 승격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양주최씨는
1985년에는 1,016가구 4,370명, 2000년에는 1,205가구 3,892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4,515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