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양천최씨(陽川崔氏)
    유래
     시조 : 최원(崔遠)
    시조 최원(崔遠)은 전주최씨 시조 최순작(崔順爵)의 10세손이다.

    최원은 고려 초에 봉선대부(奉善大夫를 지내고 밀직부사(密直副使)로 공을 세워 양천백(陽川伯)에 봉해졌다. 그래서 후손들이 전주최씨에서 분관하여 본관을 양천으로 하였다.
    인물
    - 최숙정(崔淑精, 1435 ~ 1480) : 조선 때 부제학이였다.
    - 최숙경(崔淑卿) : 최숙정의 동생. 성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부사를 역임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최영문(崔榮門, 1563 癸亥生) : 문과(文科) 광해군5년(1613) 알성시 을과(乙科)
     최숙정(崔淑精) : 문과(文科) 세조8년(1462) 식년시 정과(丁科)
     최재도(崔在道, 1870 庚午生) : 문과(文科) 고종24년(1887) 별시2 을과(乙科)
     최숙경(崔淑卿) : 문과(文科) 성종1년(1470) 별시 을과(乙科)
     최몽욱(崔夢旭, 1590 庚寅生) : 문과(文科) 인조8년(1630) 식년시 병과(丙科)
     최호문(崔虎文, 1798 戊午生) : 문과(文科) 헌종7년(1841) 정시 을과(乙科)
     최자연(崔自淵) : 문과(文科) 세종8년(1426) 식년시 동진사(同進士)
     최숙정(崔淑精) : 문과(文科) 세조12년(1466) 중시 삼등(三等)
     최숙정(崔淑精) : 문과(文科) 세조12년(1466) 발영시 이등(二等)
     최진명(崔振溟, 1589 己丑生) : 문과(文科) 인조3년(1625) 별시 병과(丙科)
    등 모두 34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0명, 무과 3명, 생원진사시 21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21世
    섭(燮)
    22世
    익(益)
    23世
    현(鉉)
    24世
    제(濟)
    25世
    식(植)
    26世
    -
    27世
    -
    28世
    -
    29世
    -
    30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2世孫은 21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서울특별시
    양천(陽川)은 경기도 김포시 양촌면 일대의 옛 지명으로 고구려 때의 재차파의현(齊次巴衣縣)이었으며, 신라 경덕왕 때 공암현(孔巖縣)으로 고쳤으며 율진군(栗津郡)의 영현이 되었다. 1310년(충선왕 2)에 양천현(陽川縣)으로 개칭되어 현령을 두었으며 조선시대에도 그대로 이어졌다. 1896년(고종 33)에 경기도 양천군(陽川郡)으로 개편되었으나 1914년 군면 폐합으로 경기도 김포군(金浦郡)에 흡수되었고, 1979년 양천군 관할이었던 양동면과 양서면이 서울특별시로 편입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양천최씨는
    1985년에는 1,452가구 5,933명, 2000년에는 2,205가구 6,914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8,376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