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연안최씨(延安崔氏)
유래
시조 : 최홍원(崔弘元)
시조 최홍원(崔弘元)의 휘는 오원(五元), 자는 여원(汝元)으로 조선시대에 황해도 연안에 거주하며 벼슬에 봉해진 뒤 연안을 본관으로 하고 있다. 연안최씨는 고허촌장 소벌도리를 원조(元祖)로 하고 있으며, 고려 시대의 학자 최충(崔沖)의 후손으로 전해오나 문헌의 분실로 정확한 계보는 밝히기 어렵다. 인물
최도업(崔道業, 2세손) : 조선시대에 통정대부(通政大夫)를 지냈다. 휘는 업길(業吉), 자는 선보(先甫).
최영흥(崔永興, 3세손) : 조선시대에 절충장군 행 용양위부호군(折衝將軍 行 龍驤衛副護軍)을 지냈다. 휘는 시만(時萬), 자는 시봉(時奉). 최규동(崔圭東, 4세손) : 조선시대에 통정대부 절충장군 행 용양위부호군 (通政大夫 折衝將軍 行 龍驤衛副護軍)을 지냈다. 휘는 대봉(大奉), 자는 대영(大寧). 최윤복(崔允福, 5세손) : 조선시대에 가선대부 절충장군 행룡양위부장군(嘉善大夫 折衝將軍 行龍讓衛副護軍)을 지냈다. 최용운(崔用雲) 세거지
전해오는 말에 의하면 조상 중 한 분이 벼슬을 받아 부여(扶餘) 홍산현(鴻山縣)에 부임한 뒤 홍산에 거주하다가, 구한말 천주교 박해 등 여러 환란을 피해 흩어져 살게 되었다고 한다.
후손은 흔하지 않아 현재 부여에 4가구, 대전에 4가구 서울에 2가구, 수원에 5가구, 울산에 1가구 등이 살고 있다. 족보발간
가승보가 전해 내려오고 있다.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황해도 연백
연안(延安)은 황해도 연백군(延白郡) 일원의 옛 지명으로 고구려 때 동음홀(冬音忽) 또는 고염성(鼓鹽城)이라 부르다가 신라시대에 해고군(海皐郡)으로 바꾸었다. 고려에서는 염주(鹽州)·영응현(永膺縣)·복주(復州)·석주(碩州)·온주(溫州) 등으로 고쳐 불렀고, 1310년(충선왕 2)에 연안(延安)으로 고쳤다. 1413년(태종 13)에 연안도호부가 되었고,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연안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연안군은 다시 배천군(白川郡)과 합하여 연백군이 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연안최씨는
1985년에는 46가구 206명, 2000년에는 173가구 586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249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