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영암최씨(靈巖崔氏)에 대한 자료가 없습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최형한(崔亨漢) : 문과(文科) 성종14년(1483) 춘당대시 을과(乙科)
최업(崔嶪, 1573 癸酉生) : 문과(文科) 광해군4년(1612) 식년시 병과(丙科)
최몽암(崔夢○, 1718 戊戌生) : 문과(文科) 영조26년(1750) 식년시 병과(丙科)
최정현(崔廷現, 1614 甲寅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최회원(崔淮源, 1612 壬子生) : 무과(武科) 인조14년(1636) 별시 병과(丙科)
최천상(崔天相, 1628 戊辰生) : 무과(武科) 숙종1년(1675) 증광시 병과(丙科)
최업립(崔業立, 1616 丙辰生) : 무과(武科) 인조14년(1636) 별시 병과(丙科)
최보(崔○, 1615 乙卯生)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최유필(崔有弼, 1637 丁丑生) : 무과(武科) 현종7년(1666) 별시 병과(丙科)
최기선(崔起先, 1618 戊午生) : 무과(武科) 인조22년(1644) 별시 병과(丙科)
등 모두 14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3명, 무과 7명, 생원진사시 4명)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전라남도 영암
영암(靈巖)은 전라남도에 위치한 지명으로 본래 마한의 영토였다가 삼국시대에는 백제 땅으로 월내군(月奈郡)으로 불리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영암군(靈巖郡)이 되었다. 995년(고려 성종 14)에는 낭주(郎州)로 개칭하고 안남도호부가 설치되었다가, 1018년(현종 9)에 낭주를 폐하고 안남도호부가 전주로 옮겨감으로 영암군으로 환원되었다. 낭산(朗山)이라는 별호가 있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나주부 영암군이 되었고, 1896년에 전라남도 영암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영암면과 시종면 등 11개 면으로 분면되었고, 1979년 영암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영암최씨는
1985년에는 251가구 1,036명, 2000년에는 503가구 1,524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127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