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용궁최씨(龍宮崔氏)
    유래
     시조 : 최현(崔玄)
    시조 최현(崔玄)은 고려 때에 평리부밀직사사(評理府密直司使)를 지냈다.

    손자인 최유(崔濡)가 군부판서(軍簿判書)로 1399년(고려 충숙왕 8) 조적(曹 )의 난에 충혜왕을 호종한 공으로 성익근재협찬보정 1등공신으로 취성군(鷲城君)에 봉해졌으며, 공민왕 때 용성(龍城:용궁) 부원군에 봉해졌기 때문에 후손들이 해주최씨에서 분관하여 본관을 용궁으로 하였다.

    - 묘소는 경기도 개성에 있다.
    인물
    - 최성우(崔成雨) : 최현(崔玄)의 증손이며 최유(崔濡)의 아들이다. 조선 때 밀직사사(密直司使)를 역임했다.

    최세담(崔世潭) : 최성우의 차남 최민수(崔敏秀)의 증손. 훈도(訓導)를 역임하여 첨정(僉正)을 지낸 최알(崔嶭)과 함께 가문을 빛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최경윤(崔慶胤, 1534 甲午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명종19년(1564) 식년시 이등(二等)
    * 모두 1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생원진사시 1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20世
    익(翼)
    21世
    봉((鳳)
    22世
    호(鎬)
    23世
    태(泰)
    24世
    식(植)
    25世
    -
    26世
    -
    27世
    -
    28世
    -
    29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1世孫은 20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예천
    용궁(龍宮)은 경상북도 예천군(醴泉郡)에 속한 지명으로 신라시대에 축산현(竺山縣)·원산현(園山縣)이라 하였는데,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예천군의 영현이 되었다. 995년(고려 성종 14)에 용주(龍州)로 승격되었다가, 목종 때 군으로 강등되었다. 1018년(현종 9)에 용궁으로 고쳐서 상주(尙州)에 편입하였다가 1172년(명종 2)에 감무를 두면서 독립하였다. 1413년(태종 13)에 현으로 고쳤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안동부 용궁군이 되었고, 1896년 경상북도 용궁군으로 승격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폐지되어 신하면(申下面)은 의성군(義城郡)에, 나머지는 용궁면 등으로 분할되어 예천군에 편입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용궁최씨는
    1985년에는 195가구 804명, 2000년에는 254가구 759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032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