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전주최씨(全州崔氏)
    유래
    전주 최씨는 시조와 계보를 각각 다르게 하는 4계통이 있다.

    [ 문열공파(文烈公派) 최순작 계 ]
    시조 최순작(崔純爵)의 시호는 문열으로 최치원(崔致遠 : 경주최씨의 시조)의 지손이다. 고려 정종 때 문과에 급제하고 문하시중으로 완주(현 전주) 개국백에 봉해졌으므로 후손들이 최순작을 1세조로 하고 본관을 전주로 하였다. 완산최씨이기도 하다.

    [ 문성공파(文成公派) 최아 계 ]
    시조 최아(崔阿)는 최순작의 7세손이다.

    [ 사도공파(司徒公派) 최균 계 ]
    시조 최균(崔均)은 최치원(崔致遠 : 경주최씨의 시조)의 지손이다. 고려 인종 때 문과에 급제한 후 1174년(고려 명종 4) 동북로도지휘사(東北路 道指揮使)가 되어 조위총(趙位寵)의 난 때 토벌군을 지휘하다가 순절하고 완산군(完山君)에 추봉되었다. 그래서 후손들이 최균을 1세조로 하고 본관을 전주로 하였다. 복야공계(僕射公系)라고도 한다.

    [ 문충공파(文忠公派) 최군옥 계 ]
    시조 최군옥(崔群玉)의 시호는 문충으로 최준옹(崔俊邕 : 동주최씨의 시조)의 후손이다. 고려 때 문하시랑 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지내고 완산부원군(完山府院君)에 봉해졌으므로 후손들이 본관을 전주로 하였다.
    인물
    - 최명길(鳴吉) : 그는 인조반정 때 1등공신으로 대제학, 영의정을 역임했다.
    - 최석정(錫鼎) : 최명길의 손자. 숙종 때 소론(少論)의 영수로서 당론의 소용돌이 속에서 8차례나 영의정을 역임하였다.
    - 최석항(錫恒) : 최명길의 손자. 경종 때 좌의정을 지냈다.
    - 최양(瀁) : 최군옥의 후손. 고려 말기의 절신(節臣)으로 '두문동(杜門洞) 72현록(賢錄)'에도 들어 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최봉명(崔鳳命, 1793 癸丑生) : 문과(文科) 고종3년(1866) 평안도도과 갑과(甲科) 장원급제
     최후현(崔後賢, 1611 辛亥生) : 문과(文科) 인조22년(1644)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최경신(崔敬身) : 문과(文科) 세종21년(1439) 친시 을과(乙科) 장원급제
     최응룡(崔應龍, 1514 甲戌生) : 문과(文科) 명종1년(1546) 증광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최준형(崔俊衡, 1608 戊申生) : 문과(文科) 효종8년(1657) 알성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최철견(崔鐵堅, 1548 戊申生) : 문과(文科) 선조18년(1585)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최맹량(崔孟良) : 문과(文科) 태종8년(1408) 식년시 동진사(同進士)
     최윤손(崔允孫) : 문과(文科) 연산군10년(1504) 식년시 병과(丙科)
     최기남(崔起南, 1559 己未生) : 문과(文科) 선조35년(1602) 알성시 병과(丙科)
     최희(崔禧, 1535 乙未生) : 문과(文科) 명종20년(1565) 알성시 을과(乙科)
    등 모두 528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06명, 무과 68명, 생원진사시 348명, 의과 2명, 음양과 4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세거지
    - 경기도 화성시 동탄면 방교리, 산척리
    - 경기도 화성시 정남면
    - 충청남도 당진시 수청동
    - 충청남도 서천군 마서면 봉남리
    -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구일리, 조촌리
    -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
    - 경상남도 고성군 동해면 봉암리
    - 경상남도 고성군 마암면 화산리
    - 경상남도 의창군 귀산면 남포리
    - 경상남도 합천군 삼가면 소오리
    - 경상북도 달성군 구지면 대암동
    - 전라남도 영암군 덕진면 영보리
    -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면 신후리
    - 전라북도 익산군 삼기면
    - 전라북도 익산군 왕궁면
    항렬자

     문열공파(文烈公派) 최순작 계
    24世
    ○진(鎭)
    25世
    철(澈)○
    26世
    ○식(植)
    27世
    병(炳)○
    28世
    ○규(奎)
    29世
    종(鍾)○
    30世
    ○락(洛)
    31世
    동(東)○
    32世
    ○섭(燮)
    33世
    원(遠)○
    34世
    ○호(鎬)
    35世
    승(承)○
    36世
    ○근(根)
    37世
    용(容)○
    38世
    ○교(敎)
    39世
    선(善)○
    40世
    ○수(洙)
    41世
    상(相)○
    42世
    ○양(陽)
    43世
    용(用)○

     문성공파(文成公派) 최아 계]
    20世
    ○상(祥)
    21世
    병(秉)○
    22世
    ○열(烈)
    23世
    규(圭)○
    24世
    ○호(鎬)
    25世
    락(洛)○
    한(漢)○
    26世
    ○임(林)
    ○근(根)
    27世
    연(然)○
    형(炯)○
    28世
    ○철(喆)
    ○기(基)
    29世
    용(鎔)○
    석(錫)○
    30世
    ○준(準)
    ○택(澤)
    31世
    종(種)○
    주(柱)○
    32世
    ○희(熙)
    ○엽(燁)
    33世
    재(載)○
    재(在)○
    34世
    ○현(鉉)
    ○진(鎭)
    35世
    -
    36世
    -
    37世
    -
    38世
    -
    39世
    -

     사도공파(司徒公派) 최균 계
    22世
    명(命)○
    23世
    ○주(柱)
    24世
    ○환(煥)
    25世
    ○중(重)
    재(載)○
    26世
    종(鍾)○
    ○호(鎬)
    27世
    ○순(淳)
    태(泰)○
    28世
    병(秉)○
    ○식(植)
    29世
    ○섭(燮)
    희(熹)○
    30世
    규(奎)○
    ○기(基)
    31世
    ○진(鎭)
    32世
    원(源)○
    33世
    ○식(植)
    화(和)○
    34世
    병(炳)○
    35世
    ○익(翼)
    36世
    석(錫)○
    37世
    ○영(永)
    38世
    수(秀)○
    39世
    ○열(烈)
    40世
    선(善)○
    41世
    ○현(鉉)
    42世
    승(承)○
    43世
    ○동(東)
    44世
    형(炯)○
    45世
    ○기(基)
    46世
    호(鎬)○
    47世
    ○자(滋)
    48世
    송(松)○
    49世
    ○희(熙)
    50世
    배(培)○
    51世
    ○용(鎔)

     문충공파(文忠公派) 최군옥 계
    26世
    ○식(植)
    27世
    병(炳)○
    28世
    ○규(奎)
    29世
    용(鎔)○
    30世
    ○한(漢)
    31世
    환(桓)○
    32世
    ○섭(燮)
    33世
    주(周)○
    34世
    ○호(鎬)
    35世
    해(海)○
    36世
    ○동(東)
    37世
    희(熹)○
    38世
    ○균(均)
    39世
    -
    40世
    -
    41世
    -
    42世
    -
    43世
    -
    44世
    -
    45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7世孫은 26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전라북도 전주
    전주(全州)는 전라북도 중앙에 위치한 지명으로 고대 마한(馬韓)의 원산성(圓山成)에서 유래하며, 백제시대에 완산(完山) 또는 비사벌(比斯伐)·비자화(比自火) 등으로 불렸다가, 555년(위덕왕 2)에 완산주(完山州)로 하였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완(完)을 의역(意譯)하여 전주(全州)로 고쳤고, 900년(효공왕 4)에 견훤(甄萱)이 무주(武州: 光州)로부터 이곳으로 후백제의 도읍을 옮겨 백제 부흥의 노력을 하였다. 936년(고려 태조 19)에 후백제가 망하자 안남도호부(安南都護府)가 설치되었다가 940년에 다시 전주로 회복되었다. 983년(성종 2)에 12목 가운데의 하나인 전주목이 설치되었으며, 993년에 승화(承化)로 개칭하고 절도안무사(節度安撫使)를 두었다. 995년에는 강남도(江南道) 관하의 전주순의군절도사(全州順義軍節度使)가 되었다가 1018년(현종 9)에 다시 안남대도호부로 승격되고, 1022년에 전주목으로 개칭되어 1곳의 속군과 11곳의 속현을 포함하는 큰 고을이 되었다. 1310년(충선왕 2)에 전주로 강등되고, 1355년(공민왕 4)에는 부곡으로 강등되었다가 이듬해에 완산부(完山府)로 복구되었다. 1392년(태조 1)에 전주이씨의 본향지라 하여 완산부유수(完山府留守)로 승격되었으며, 1403년(태종 3)에 전주부(全州府)로 개칭되어 조선시대 동안 유지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전주부 전주군이 되었고, 1896년 전라북도 전주군으로 개편된 이래 1935년 전주면이 부로 승격하여 독립하고 1949년 전주시로 개칭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전주최씨는
    1985년에는 81,500가구 342,849명, 2000년에는 122,147가구 392,548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458,191명으로 조사되었다.
    참고사항
    - 문열공파 : 예의판서공파(禮儀判書公波), 판윤공파(判尹公波), 양도공파(襄度公波), 지평공파(持平公波)
    - 문성공파 : 안렴사공파(按廉使公波). 대호군공파(大護軍公波), 판서공파(判書公波), 중랑장공파(中郞將公波)
    - 사도공파 : 완성군파(完城君波), 판서공파(判書公波), 총랑공파(摠郞公波)
    - 문충공파 : 군수공파(郡守公波), 현령공파(縣令公波), 절도사공파(節度使公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