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죽산최씨(竹山崔氏)
    유래
     시조 : 최효운(崔孝雲)
    시조 일죽공(一竹公) 최효운(崔孝雲)은 조선시대에 문과에 급제하여 의정부 좌찬성(議政府左贊成) 겸 판의금부사(判義禁府事)를 지내고 홍문관대제학, 지경연사(知經筵事)에 이르렀으며, 영의정(領議政)에 추증되었다.
    인물
    시조 최효운(崔孝雲)의 아들 최세형(崔世亨)이 부총관(副摠管)을 지냈고, 그의 아들 최충좌(崔忠佐)는 조선 세조의 맏아들 덕원군(德源君) 서(曙)의 사위가 되었다. 최충좌(崔忠佐)의 아들 최영은 면천 군수를 지냈고, 최영의 아들 최임(崔琳)은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 안방준(安邦俊)과 함께 의병을 일트켜 전쟁에 공을 세우고 사재감직장(司宰監直長)을 지냈으며, 개천군수를 역임한 최침(崔琛)은 형인 최임(崔琳)과 함께 삼정사(三亭祠)에 제향(祭享)되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최우일(崔友一, 1560 庚申生) : 무과(武科) 선조34년(1601) 식년시 병과(丙科)
     최용(崔龍, 1593 癸巳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최상만(崔尙萬, 1642 壬午生) : 무과(武科) 현종13년(1672) 별시 병과(丙科)
     최충보(崔忠輔)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중종20년(1525) 식년시 이등(二等)
     최계종(崔繼宗)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중종29년(1534) 식년시 이등(二等)
     최병호(崔秉浩, 1817 丁丑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10년(1873) 식년시 이등(二等)
     최붕(崔鵬)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명종7년(1552) 식년시 삼등(三等)
     최형균(崔衡均, 1779 己亥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순조28년(1828) 식년시 삼등(三等)
    * 모두 8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무과 3명, 생원진사시 5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기도 안성
    죽산(竹山)은 경기도 용인시(龍仁市)과 안성시(安城市) 일부에 속해있던 옛 지명이다. 본래 고구려의 개차산군(皆次山郡)이었는데,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개산군(介山郡)으로 고쳤다. 고려 초에 죽주(竹州)로 고치고, 995년(성종 14)에 단련사(團練使)를 두어 음평(陰平) 또는 연창(延昌)이라 하였으며, 현종 때 광주(廣州)로 속하였다. 1413년(태종 13)에 죽산현(竹山縣)으로 개칭하여 감무(監務)를 두었고, 1543년(중종 38) 죽산도호부(竹山都護府)로 승격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죽산군이 되었고, 1896년에 경기도에 이관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원일면(遠一面)과 근삼면(近三面) 일부는 용인군(龍仁郡)에 합해지고, 나머지 지역은 안성군(安城郡)에 편입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죽산최씨는
    1985년에는 169가구 725명, 2000년에는 405가구 1,289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762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