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태인최씨(泰仁崔氏)
    유래
     시조 : 최용전(崔勇田)
    시조 최용전(崔勇田)은 최치원(崔致遠)의 후손으로 고려 충렬왕 때 대사성(大司成)을 역임하였고, 충혜왕 때 척불숭유로 인하여 태산(太山 : 태인)으로 낙향하여 동인지교(東人之交)를 편수한 최해(崔瀣)의 6세손이다.

    최용전은 조선 연산군 때 예빈사판사(禮賓寺判事)를 지냈으나 갑자사화(甲子士禍)가 일어나자 관직을 버리고 고향으로 내려갔다가 1530년(중종 25) 안릉(재령의 다른이름)으로 이주, 정착하여 살면서 경주최씨에서 분관하여 고향인 태인을 본관으로 하였다.

    참고로 조선씨족통보(朝鮮氏族統譜)에는 계대(系代)를 알 수 없는 광해군 때 통정대부를 지낸 최인길(崔仁吉)을 시조로 기록하고 있으나 문헌이 실전(失傳)되어 정확히 고증할 수 없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최희도(崔熙道, 1677 丁巳生) : 문과(文科) 경종1년(1721) 식년시 병과(丙科)
     최희철(崔熙喆, 1688 戊辰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영조1년(1725) 증광시 삼등(三等)
    * 모두 2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명, 생원진사시 1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13世
    규(珪)
    14世
    인(仁)
    15世
    손(孫)
    16世
    증(曾)
    17世
    영(永)
    18世
    -
    19世
    -
    20世
    -
    21世
    -
    22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14世孫은 13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전라북도 정읍시
    태인(泰仁)은 전라북도 정읍시(井邑市)에 속해있는 지명으로 태산현(泰山縣)과 인의현(仁義縣)의 합명이다. 태산현은 본래 백제의 대시산현(大尸山縣)을 757년(신라 경덕왕 16) 태산(太山)으로 고쳐 대산(大山)·태산(泰山) 등으로 불렸다. 940년(고려 태조 23) 빈성을 인의현으로 고치고, 1354년(공민왕 3) 대산군 태산(太山)으로 고치고 인의를 편입하였다. 인의현은 백제 때 빈굴(賓屈)·빈성(斌城)·부성(賦城) 등으로 불렸다가 신라 때 무성(武城)으로 고쳤고, 고려에 인의(仁義)로 고쳤다가 1409년(태종 9)에 태산(泰山)과 합하여 태인현(泰仁縣)이 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전주부 관할의 고부군·태인군·정읍군이 되었다가, 1896년에 전라북도에 소속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고부군과 태인군이 폐지되었고, 정읍군에 병합됨으로써 면적이 크게 넓어졌다. 1930년에 정읍면이 정주면으로 되었고, 1931년에 정주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1981년 정주읍이 시로 승격하여 정주시와 정읍군으로 나누어졌고, 1995년 정주시와 정읍군이 정읍시로 통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태인최씨는
    1985년에는 282가구 1,193명, 2000년에는 453가구 1,447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417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