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통천최씨(通川崔氏)
    유래
     시조 : 최경현(崔景賢)
    시조 최경현(崔景賢)은 고려 때에 정의대부동판밀직사사(正義大夫同判密直司事), 중서좌상시감찰어사(中書左常侍監察御史)를 역임했다. 그의 8세손 최운해(崔雲海)가 고려말에 밀직부사를 지내고,조선 시대에 삭주병마사로서 통천에 출전하여 혁혁한 전과를 올리고 병조판서에 승진했다. 그래서 이 공훈을 영원히 남기기 위하여 경주최씨에서 분관하여 통천을 본관으로 하였다.
    인물
    - 통천崔氏는 고려조에 동정(同正)을 지낸 최탁(崔卓)을 비롯하여 상장군을 지낸 최유(崔侑), 삼군부사(三軍府事)를 지낸 최운해(崔雲海) 등 여러 관직자들을 배출하면서 번영 하였다.
    - 최운해 : 아버지의 전공으로 공민왕 때 충남위산원(忠男衛散員)에 기용, 여러번 왜구를 격퇴하여 전법판서(典法判書), 충주와 전주의 목사를 거쳐 밀직부사에 이르러 충근좌명공신(忠勤左命功臣)의 호를 받았다. 이어 양광도절제사(楊廣道節制使) 겸 판광주목사(判廣州牧事)로서 전공을 세웠고, 1388년 전라도부원수로서 요동정벌 때 조민수(曺敏修)의 막하로 출정, 1392년 조선이 개국되자,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이 되고 이듬해 문하평리로서 양광도절제사가 되어 박위와 함께 왜구를 격파하였다.
    - 최윤덕(崔潤德) : 조선시대의 인물로, 1410년 무과에 급제하고 상호군, 동북면조전병마사가 되고, 다음해 우군동지총제를 거쳐 1413년 경성등처철제사(鏡城等處節制使)로 나아가 티무르를 복속시킴으로써 야인(野 人)들의 준동을 막았으며, 1419년 의정부참찬으로서 삼군도통사가 되어 대마도를 정벌하고, 1421년 공조판서가 되어 정조사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그는 1435년 좌의정으로 승진, 1445년에는 궤장을 하사받았다.
    - 최립 : 1561년 식년문과에 장원하여 여러 외직을 지낸 뒤 1581년 재령군수로 있으면서 빈민구제에 힘썼고, 임진왜란때는 외교문서를 작성하는데 타의 추종을 불허하여 송도삼절의 한사람이 되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최립(崔○, 1539 己亥生) : 문과(文科) 명종16년(1561)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최동망(崔東望, 1557 丁巳生) : 문과(文科) 선조22년(1589) 증광시 을과(乙科)
     최세진(崔世津) : 문과(文科) 중종10년(1515) 별시 병과(丙科)
     최영길(崔永吉, 1598 戊戌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최암(崔○, 1558 戊午生) : 무과(武科) 선조17년(1584) 별시 병과(丙科)
     최입(崔岦, 1539 己亥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명종10년(1555) 식년시 이등(二等)
     최입(崔岦, 1539 己亥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명종10년(1555) 식년시 이등(二等)
     최동망(崔東望, 1557 丁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선조21년(1588) 식년시 삼등(三等)
     최자립(崔自立)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중종26년(1531) 식년시 이등(二等)
     최세담(崔世淡) : 의과(醫科) 중종2년(1507) 식년시 ()
    * 모두 10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3명, 무과 2명, 생원진사시 4명, 의과 1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19世
    성(性)
    20世
    진(鎭)
    21世
    근(根)
    22世
    병(炳)
    23世
    규(圭)
    24世
    -
    25世
    -
    26世
    -
    27世
    -
    28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0世孫은 19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강원도 통천
    통천(通川)은 강원도에 위치하는 지명으로 현재 통천군은 옛 통천군 지역과 흡곡군(歙谷郡)이 통합된 지역이다. 고구려의 휴양군(休壤郡) 또는 금뇌군(金惱郡)이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 금양군(金壤郡)이 되었다. 고려 초에 현령(縣令)을 두었으며, 1285년(충렬왕 11) 통주방어사(通州防禦使)로 승격하였다. 1413년(태종 13) 통천(通川)이라고 개칭되었다가 1762년(영조 38) 현(縣)으로 강등되었다가 1771년 다시 군이 되었다. 흡곡은 고구려의 습비곡(習比谷) 또는 습비탄(習比呑)인데 신라 경덕왕 때 습계(習溪)로 개칭되어 금양군(金壤郡)의 속현이 되었다. 고려시대에 흡곡으로 개칭되었으며, 1248년(고종 35) 현령을 두었다. 1596년(선조 29) 통천(通川)에 병합되었다가 1598년 현으로 복구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흡곡군이 되었으나 1910년 통천군에 폐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통천최씨는
    1985년에는 1,910가구 7,751명, 2000년에는 2,619가구 8,144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1,178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