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시조 최유섭은 고려에서 상서를 지냈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강원도 평창
평창(平昌)은 본래 고구려의 욱오현(郁烏縣: 일명 于烏縣)이었다가 신라 영역이 되어 경순왕 때에 백오현(白烏縣)이라 개칭하여 내성군(奈城郡: 영월군)의 영현(領縣)으로 삼았다. 고려 초에 지금의 이름인 평창현으로 이름을 개칭되었으며, 1018년(현종 9)에 원주의 속현으로 병합되었다가 1299년(충렬왕 25)에 현령(縣令)을 두었다. 1387년(우왕 13)에 평창군으로 잠시 승격되기도 했으나 곧 현으로 환원되었다. 1392년(태조 1)에 태조 이성계의 고조부인 목조(穆祖)의 비 효경왕후 이씨의 고향이라 하여 평창군으로 승격되어 조선시대 동안 유지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충주부(忠州府) 평창군으로 되었다가, 1896년 13도제(道制) 실시로 강원으로 편입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미탄면·대화면·진부면·봉평면은 그대로, 군북면·남면·북면이 군내면으로 통합되었다. 1979년에 평창면이 평창읍으로 승격되었다. 1983년에 행정구역 조정에 따라 봉평면 백옥포리(白玉浦里)·장평리, 진부면 속사리·노동리(路洞里)·용전리(龍田里)·이목정리(梨木亭里)·도사리, 대화면 신리(新里) 일부를 통합하여 용평면(龍坪面)을 설치하였고, 1989년 도암면 호명리가 진부면에 편입되었다. 2003년 평창읍·미탄면·방림면·대화면·봉평면·용평면·진부면·도암면 등 1읍 7면과 계촌출장소로 이루어져 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평창최씨는
1985년에는 76가구 334명, 2000년에는 116가구 406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71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