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해주최씨(海州崔氏)
유래
시조 : 최온(崔溫)
시조 최온(崔溫)은 널리 알려진 해동공자(海東孔子) 최충의 아버지로 해주 대령군 수양산밑에서 오래동안 살았다고 하며 그곳의 별칭이 고죽군이어서 고죽최씨라고도 한다. 시조 최온은 일찌기 해주 목민관(牧民官)으로서 선정을 베풀어 이름을 떨쳤으며 문장으로도 명성이 높았고, 뒤에 판사부사(判吏部事)를 지냈다. 이러한 모든 것이 해주에서 이루어졌고 또 여러 대에 걸쳐 해주서 살았으므로 후손들이 본관을 해주로 하여 대를 계승하고 있다. 인물
- 최충 : 최온의 아들. 동방 유학(儒學)의 비조(鼻祖)인 성제(惺齊) 최충, 그는 고려 목 종8 년에 문과에 장원, 문종때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내고 은퇴하여 開京에 최초의 사학(私學)인 구제학당(九齊學堂)을 열어 많은 영재를 배출하였다. 그의 두 아들 최유선(惟善)과 최유길(惟吉)은 모두 재상(宰相)의 자리에 올라 부자 2 대에 명문의 기반을 확고히 다지게 된다.고려사열전(高麗史列傳)에 의하면 "동방 학교의 일어남이 최충에서 비롯되었고 최충의 자손으로 재상에 오른 사람이 수십명이 된다"고 했다.
- 최경회(崔慶會) : 그 유명한 논개(論介)의 남편으로 전해진다. 논개는 사실 기생이 아니고 최경회의 부실(副室)로 남편이 진주에서 전사하자 기생을 가장, 왜장들의 승전축하연에 참석해 왜장을 안고 투신했다고 밝혀지고 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최유연(崔有淵) : 문과(文科) 광해군13년(1621)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최수옹(崔粹翁, 1734 甲寅生) : 문과(文科) 정조2년(1778)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최국현(崔國鉉, 1834 甲午生) : 문과(文科) 고종29년(1892)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최경회(崔慶會, 1532 壬辰生) : 문과(文科) 선조1년(1567) 식년시 을과(乙科) 최수(崔洙, 1546 丙午生) : 문과(文科) 선조15년(1582) 식년시 을과(乙科) 최세걸(崔世傑) : 문과(文科) 성종17년(1486) 식년시 병과(丙科) 최기(崔沂, 1553 癸丑生) : 문과(文科) 선조18년(1585) 식년시 을과(乙科) 최홍재(崔弘載, 1560 庚申生) : 문과(文科) 선조24년(1591) 식년시 병과(丙科) 최의점(崔義漸, 1842 壬寅生) : 문과(文科) 고종6년(1869) 별시 병과(丙科) 최시한(崔時翰, 1631 辛未生) : 문과(文科) 숙종9년(1683) 증광시 병과(丙科) 등 모두 262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49명, 무과 46명, 생원진사시 161명, 역과 2명, 의과 2명, 율과 2명) 항렬자
좌랑공파(佐郞公派)
전한공파(典翰公派)
사정공파(司正公派)
사평공파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황해도 해주
해주(海州)는 황해도 남해안에 위치한 도청소재지이다. 고조선시대에 대방군(帶方郡)에 속하여 고죽(孤竹)으로 불리었다. 고구려 때에는 내미홀(內米忽) 또는 지성(池城)·장지(長池) 등으로 불리우다가, 748년(신라 경덕왕 7)에 폭지군(瀑池郡)으로 바뀌었다. 936년(고려 태조 19)에 태조가 남쪽이 바다와 접하고 있다고 하여 해주를 사명(賜名)했으며 성종 때 와서는 별호로 대령(大寧)·서해(西海) 등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983년(성종 2)에 해주목으로 승격된 데 이어 1018년(현종 9)에 안서도호부로 개편되었고 1247년(고종 34)년에는 다시 해주목으로 환원되었다. 1616년(광해군 8) 현으로 강등되었다가 1623년(인조 1)에 다시 목으로 복구되었다. 1895(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해주부가 설치되었고, 1896년 도제 실시로 황해도의 도청소재지가 되었다. 1945년 해주시로 개편되었다. 1954년 북한의 관제 정비로 황해남도에 편입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해주최씨는
1985년에는 38,628가구 161,782명, 2000년에는 56,592가구 181,840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201,625명으로 조사되었다. 참고사항
사정공파(司正公派), 교리공파(校理公派), 직제학공파(直提學公派), 문정공파(文貞公派), 집의공파(執義公派), 대령군파(大寧君派), 서운부정공파(書雲副正公派), 전서공파(典書公‘龍起‘派), 현감공파(縣監公‘塙‘派), 좌랑공파(佐郞公派), 생원공파(生員公派), 진사공파(進士公‘垠‘派), 전한공파(典翰公派), 현감공파(縣監公‘萬玹‘派), 판사복사공파(判司僕寺公派), 승지공파(承旨公派), 진사공파(進士公‘尹望‘派), 장사랑공파(將仕郞公派), 진사공파(進士公‘尹卓‘派), 좌윤공파(左尹公派), 감찰공파(監察公派), 사평공파(司評公派), 소윤공파(少尹公派), 전서공파(典書公‘河‘派), 해능군파(海陵君派), 복야공파(僕射公派), 현감공파(懸監公‘瑀‘派)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