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금산김씨(錦山金氏)
    유래
     시조 : 김신(金侁)
    시조 김신(金侁)는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넷째 아들 대안군(大安君) 김은열(金殷說)의 손자로 우복야(右僕射) 삼중대광(三重大匡) 판삼사사(判三司事)를 지낸 김정보(金正寶)의 13세손이다. 김신의 자는 윤식(倫直), 호는 낙천제(樂天齊), 시호는 충간(忠簡)으로 고려 때 요양성 참정(遼陽省參政)을 지낸 후 귀국하여 금주군(錦州君. 금산의 옛 이름)에 봉해져 후손들이 본관을 금산으로 하고 있다.
    인물
    시조 김신의 맏아들 김세유(金世宥)는 부원수(副元帥)를 지냈으며, 차남 김광유(金光宥)는 호조전서(戶曹典書)를 역임하였다.
    김광유의 증손자 김지(金摯)는 1370년(공민왕 19년) 문과에 급제하고 한림원 학사(翰林院學士)를 거쳐 사의대부(司義大夫), 좌사간(左司諫)을 지냈으며,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개국하자 태종이 가선대부(嘉善大夫)로 예조참판(禮曹參判)을 제수(除授)하여 그를 불렀으나 벼슬길에 나가지 않고 충절을 지켰다.

    조선 선조 11년 문과에 급제한 김희옹(金希雍)은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과 이조판서(吏曹判書)를 지냈고, 김감(金鑑)은 김광유의 11세손으로 광해군 때 등과하고 예조정랑(禮曹正郞)을 거쳐 성절사(聖節使)의 서장관이 되어 명나라에 다녀와 이조참의(吏曹參議)를 역임한 후 1636년(인조 14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곡성에서 의병장이 되어 아들 김남식(金南植), 김남억(金南億) 형제와 함께 눈부신 활약을 했다.

    그외 인물로는 김남억의 6세손으로 병조참판(兵曹參判)을 지낸 김언장(金彦章)과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김언태(金彦兌), 좌승지(左承旨) 김언익(金彦翊)이 유명했고, 김언익의 아들 김의흥(金義興)은 한성부좌윤(漢城府左尹)을 역임하여 부호군(副護軍)을 지낸 김평(金平 : 김언태의 아들),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김대휘(金大輝), 김인해(金仁海)와 함께 가문을 빛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김감(金鑑, 1566 丙寅生) : 문과(文科) 광해군5년(1613) 증광시 병과(丙科)
     김태화(金兌和, 1688 戊辰生) : 문과(文科) 숙종43년(1717) 식년시 병과(丙科)
     김후중(金○重, 1693 癸酉生) : 문과(文科) 영조5년(1729) 식년시 병과(丙科)
     김일(金○)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김광욱(金光旭, 1613 癸丑生) : 무과(武科) 인조22년(1644) 별시 을과(乙科)
     김군길(金君吉, 1596 丙申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김원보(金元寶, 1560 庚申生) : 무과(武科) 선조16년(1583) 별시 병과(丙科)
     김혁장(金赫璋, 1797 丁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4년(1867) 식년시 삼등(三等)
     김감(金鑑, 1566 丙寅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선조21년(1588) 식년시 삼등(三等)
     김기중(金基中, 1819 己卯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11년(1874) 증광시 삼등(三等)
    등 모두 12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3명, 무과 4명, 생원진사시 5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22世
    혁(赫)
    23世
    현(鉉)
    24世
    한(漢)
    25世
    식(植)
    26世
    병(炳)
    형(炯)
    27世
    배(培)
    규(圭)
    28世
    호(鎬)
    진(鎭)
    29世
    30世
    -
    31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3世孫은 22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충청남도 금산
    금산(錦山)은 충청남도 남동부에 위치하는 지역으로 현재 금산군은 옛 금산군과 진산군(珍山郡)을 병합한 지역이다. 백제에는 진내군(進乃郡) 또는 진내을군(進乃乙郡)이라 부르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 진례군(進禮郡)으로 개편하였다. 983년(성종 2)에는 금계(錦溪)라 하여 전라도에 속하였다가 1305년(충렬왕 31)에 금주(錦州)로 승격되었다. 1413년(태종 13)에는 금주군이 금산군으로 개칭되어 조선말까지 이어졌다. 1896년(고종 33)에 충청남도 공주부(公州府) 소속이었던 금산군과 진산군을 전라북도로 편입하였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진산군을 금산군으로 폐합하였다. 1963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전라북도에서 충청남도로 편입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금산김씨는
    1985년에는 3,268가구 14,107명, 2000년에는 4,377가구 14,052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6,234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