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김녕김씨(金寧金氏)
    유래
     시조 : 김시흥(金時興)
    시조 김시흥(金時興)은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넷째 아들 대안군(大安君) 김은열(金殷說)의 7세손으로 의성(義城)에서 출생하였다. 고려 인종조에 문과에 급제하여 한림원(翰林院)을 거쳐 고려 인종 13년 묘청의 난을 평정하여 금주군(金州君)에 봉해졌으며, 명종 때에는 조위총(趙位寵)의 난을 토평하는 데 공을 세워 식읍을 하사받고 상락군(上洛君)에 봉해졌다.

    후손들이 김녕을 본관으로 하여 오다가 고려말에 지명이 김해(金海)로 개칭되자 본관을 김해로 하게 되었다. 그러나 수로왕 계통의 김해김씨와 혼돈되므로 김해김씨를 선김(先金)으로, 김녕김씨는 후김(後金)으로 부르다가 후손들이 구분을 확실히 하지 못하자 1865년(고종 2년)에 김녕으로 확정하였다.
    인물
    김시흥의 증손자 김중원(金重源)이 고려 시대에 안렴사(按廉使)를 거쳐 형부시랑(形部侍郞)을 지내고 이부상서(吏部尙書)에 증직(贈職)되었다. 특히 그는 고려가 망하자 개탄하여 단식을 하다가 순절(殉節)하였다.
    공양왕 때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낸 김광저(金光儲 : 김중원의 손자)는 무록산(武鹿山)에 들어가 불사이군의 충절로 절의를 지켰는데, 태종이 이조판서(吏曹判書)의 벼슬을 내려 그를 회유하려 했으나 끝내 거절하였다.

    한편 김광저(金光儲)의 아들 김순(金順)도 고려 때 호조판서(戶曹判書)를 역임하였으나 조선이 개국되자 벼슬에서 물러나 호를 퇴휴당(退休堂)이라 하고 충북 옥천의 백지리에 정자를 짓고 망국의 한을 달랬으며, 분성군(盆城君) 김정갑(金挺甲)의 아들 김질(金秩)은 태조가 등극전의 정의(情)로 개국원종공신(開國原從功臣)에 책록 하고 예조판서(禮曹判書)에 임명되었으나 응하지 않고 아산 도고산에 은둔 한 후 두 임금을 섬길 수 없다 하여 자호(自號)를 송암(松菴)이라 하였다.

    이조판서 김관(金觀)의 아들 김문기(金文起)는 1399년(정종 1년) 2월 16일 충북 옥천군 이원면 백지리에서 출생하여 세종 때 식년문과에 급제하고 예문관 검열(藝文館檢閱)에 임명되어 "태종실록(太宗實錄)"을 편찬했으며, 계유정난 때 이조판서로 내외종간(內外從間)인 박팽년(朴彭年) 등과 더불어 단종의 복위를 도모했다가 1456년(세조 2년) 6월 8일 사육신과 함께 순절했다.

    거창과 양지현감(陽知縣監)을 거쳐 영월군수(寧越郡守)를 역임한 김현석(金玄錫)도 아버지인 김문기를 따라 순절하였고, 김문기의 손자 김충주(金忠柱)와 증손 김현남(金玄南), 5세손 김약전(金約前) 등이 모두 충효로 가문을 빛내어 "5세충효(五世忠孝)"의 정문이 세워졌다.

    한편 김준(金遵)은 천문, 지리와 실학에 능통 한 인물로 단종이 죽임을 당하자 3년간 복상을 한 후 벼슬을 버리고 전남 고흥으로 내려가 학문에만 전념했다.

    그밖의 인물로는 판서(判書) 김복룡(金福龍)의 아들 김응수(金應壽)가 형제들과 더불어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전공을 세우고 호성공신(扈聖功臣)에 올랐으며, 담양부사(潭陽府使) 김언공(金彦恭)은 권율(權慄)의 영천 전투와 이순신(李舜臣) 장군의 노량대첩(露粱大捷)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여 명성을 떨쳤다.

    노모를 등에 업고 팔공산 전투에서 공을 세운 김유부(金有富)와 그의 아들 김기남(金起南), 김난생(金蘭生) 형제는 병자호란에 순절하여 김준걸(金俊傑 : 선조 때의
    공신), 김득성(金得誠), 김영길(金永吉 : 선전관으로 임진왜란 때 순절) 부자와 함께 이름을 날렸으며, 김진행(金鎭行)은 효행으로 정표(旌表)를 받아 충과 효의 전통을 이어왔다.

    - 김영삼(金泳三) : 대한민국 제14대 대통령(재임 1993~1998)을 지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김진영(金鎭永, 1852 壬子生) : 문과(文科) 고종30년(1893) 별시2 병과(丙科)
     김용덕(金溶悳, 1863 癸亥生) : 문과(文科) 고종30년(1893) 별시 병과(丙科)
     김만원(金萬源, 1872 壬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25년(1888) 식년시 삼등(三等)
     김인호(金仁浩, 1851 辛亥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22년(1885) 식년시 삼등(三等)
     김지원(金止源, 1808 戊辰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17년(1880) 증광시 삼등(三等)
     김승룡(金昇龍, 1850 庚戌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4년(1867) 식년시 삼등(三等)
     김용직(金溶直, 1842 壬寅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28년(1891) 증광시 삼등(三等)
     김우성(金宇聲, 1832 壬辰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25년(1888) 식년시 삼등(三等)
     김성모(金性模, 1870 庚午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31년(1894) 식년시 삼등(三等)
     김서범(金書範, 1812 壬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헌종12년(1846) 식년시 이등(二等)
    등 모두 14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2명, 생원진사시 12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영돈령공파 (領敦寧公派, 김존)
    23世
    정(廷)
    24世
    계(季)
    25世
    형(炯)
    26世
    기(基)
    27世
    석(錫)
    28世
    영(永)
    29世
    빈(彬)
    30世
    병(炳)
    31世
    균(均)
    32世
    종(鍾)
    33世
    문(汶)
    34世
    동(東)
    35世
    현(炫)
    36世
    중(重)
    37世
    련(鍊)
    38世
    홍(洪)
    39世
    -
    40世
    -
    41世
    -
    42世
    -

     충의공파 (忠疑公派, 김문기)
    23世
    용(溶)
    광(洸)
    24世
    권(權)
    모(模)
    주(柱)
    25世
    형(炯)
    병(炳)
    현(炫)
    26世
    규(圭)
    기(基)
    배(培)
    27世
    진(鎭)
    종(鍾)
    련(鍊)
    28世
    연(淵)
    수(洙)
    태(泰)
    29世
    정(禎)
    동(東)
    병(秉)
    30世
    엽(燁)
    섭(燮)
    열(烈)
    31世
    채(埰)
    재(在)
    지(祉)
    32世
    현(鉉)
    호(鎬)
    건(鍵)
    33世
    준(浚)
    영(泳)
    호(浩)
    34世
    병(柄)
    근(根)
    상(相)
    35世
    환(煥)
    희(熺)
    희(熙)
    36世
    준(埈)
    곤(坤)
    균(均)
    37世
    동(銅)
    용(鏞)
    옥(鈺)
    38世
    한(漢)
    락(洛)
    영(永)
    39世
    -
    40世
    -
    41世
    -
    42世
    -

     대사성공파 (大司成公派, 김지)
    23世
    港(홍)
    익(翼)
    24世
    병(秉)
    주(柱)
    25世
    열(烈)
    26世
    규(奎)
    27世
    흠(欽)
    선(鐥)
    28世
    우(雨)
    영(永)
    29世
    휴(休)
    30世
    표(杓)
    31世
    훈(勳)
    희(熙)
    32世
    균(均)
    곤(坤)
    33世
    호(鎬)
    련(鍊)
    34世
    연(淵)
    수(洙)
    35世
    래(來)
    상(相)
    36世
    현(炫)
    섭(燮)
    37世
    로(老)
    재(載)
    38世
    용(鎔)
    련(鍊)
    39世
    영(永)
    용(溶)
    40世
    -
    41世
    -
    42世
    -

     도순찰사공파 (都巡察使公派, 김문제)
    23世
    기(沂)○
    24世
    ○동(東)
    25世
    병(炳)○
    26世
    ○준(埈)
    27世
    석(錫)○
    28世
    ○원(源)
    29世
    기(杞)○
    30世
    ○환(煥)
    31世
    재(在)○
    32世
    ○선(善)
    33世
    하(河)○
    34世
    ○근(根)
    35世
    성(性)○
    36世
    ○기(基)
    37世
    38世
    -
    39世
    -
    40世
    -
    41世
    -
    42世
    -

     익화군파(김인찬)
    23世
    정(廷)
    24世
    학(學)
    25世
    조(朝)
    26世
    직(稙)
    27世
    현(顯)
    28世
    원(遠)
    29世
    호(鎬)
    30世
    영(泳)
    31世
    병(秉)
    32世
    환(煥)
    33世
    재(載)
    34世
    종(鍾)
    35世
    태(泰)
    36世
    상(相)
    37世
    용(容)
    38世
    규(圭)
    39世
    -
    40世
    -
    41世
    -
    42世
    -

     진주목사공파 (晉州牧使公派, 김형)
    23世
    배(培)
    24世
    종(鍾)
    25世
    준(準)
    26世
    병(秉)
    27世
    용(容)
    28世
    지(志)
    29世
    련(鍊)
    30世
    승(承)
    31世
    술(述)
    32世
    명(鳴)
    33世
    규(圭)
    34世
    수(銖)
    35世
    -
    36世
    -
    37世
    -
    38世
    -
    39世
    -
    40世
    -
    41世
    -
    42世
    -

     충간공파 (김경의)
    23世
    영(永)
    24世
    정(鼎)
    25世
    영(榮)
    26世
    경(炅)
    27世
    재(載)
    28世
    종(鍾)
    29世
    수(洙)
    30世
    병(秉)
    31世
    환(煥)
    32世
    중(重)
    33世
    호(鎬)
    34世
    하(河)
    35世
    주(柱)
    36世
    병(炳)
    37世
    기(基)
    38世
    -
    39世
    -
    40世
    -
    41世
    -
    42世
    -

     충정공파 (忠貞公派, 김준영)
    23世
    상(相)
    병(秉)
    24世
    섭(燮)
    환(煥)
    25世
    철(喆)
    기(基)
    26世
    종(鍾)
    호(鎬)
    27世
    수(洙)
    순(淳)
    28世
    식(植)
    동(東)
    29世
    형(炯)
    남(南)
    30世
    배(培)
    균(均)
    31世
    용(鎔)
    석(錫)
    32世
    호(浩)
    연(淵)
    33世
    영(營)
    주(柱)
    34世
    열(烈)
    희(熙)
    35世
    -
    36世
    -
    37世
    -
    38世
    -
    39世
    -
    40世
    -
    41世
    -
    42世
    -

     충경공파 (김경세)
    26世
    환(煥)
    27世
    회(會)
    28世
    진(鎭)
    29世
    기(淇)
    30世
    래(來)
    31世
    연(然)
    32世
    각(珏)
    33世
    태(兌)
    34世
    임(壬)
    35世
    진(震)
    36世
    남(南)
    37世
    정(正)
    38世
    선(善)
    39世
    해(海)
    40世
    주(柱)
    41世
    병(炳)
    42世
    -
    43世
    -
    44世
    -
    45世
    -

     만은공파 (晩隱公派, 김길상)
    23世
    성(聖)
    24世
    호(浩)
    25世
    현(鉉)
    26世
    연(淵)
    27世
    권(權)
    28世
    병(炳)
    29世
    규(圭)
    30世
    진(鎭)
    31世
    순(淳)
    32世
    주(柱)
    33世
    준(晙)
    34世
    재(在)
    35世
    호(鎬)
    36世
    원(源)
    37世
    환(桓)
    38世
    희(熙)
    39世
    증(增)
    40世
    석(錫)
    41世
    -
    42世
    -

     상서공파 (尙書公派, 김문희)
    23世
    용(溶)
    24世
    권(權)
    25世
    형(炯)
    26世
    규(圭)
    27世
    선(銑)
    28世
    수(洙)
    29世
    계(桂)
    30世
    환(煥)
    31世
    은(垠)
    32世
    호(鎬)
    33世
    준(浚)
    34世
    동(東)
    35世
    병(炳)
    36世
    곤(坤)
    37世
    진(鎭)
    38世
    영(泳)
    39世
    -
    40世
    -
    41世
    -
    42世
    -

     송암공파 (松菴公派, 김질)
    23世
    석(錫)
    24世
    영(永)
    25世
    직(稙)
    26世
    환(奐)
    27世
    주(周)
    28世
    종(鍾)
    29世
    오(旿)
    30世
    조(朝)
    31世
    용(溶)
    32世
    상(相)
    33世
    섭(燮)
    34世
    건(建)
    35世
    -
    36世
    -
    37世
    -
    38世
    -
    39世
    -
    40世
    -
    41世
    -
    42世
    -

     선교랑공파 (宣交郞公派, 김구야)
    23世
    배(培)
    24世
    종(鍾)
    25世
    준(準)
    26世
    병(秉)
    27世
    용(容)
    28世
    지(志)
    29世
    련(鍊)
    30世
    승(承)
    31世
    술(述)
    32世
    명(鳴)
    33世
    수(銖)
    34世
    규(圭)
    35世
    -
    36世
    -
    37世
    -
    38世
    -
    39世
    -
    40世
    -
    41世
    -
    42世
    -

     시랑공파 (侍郞公派, 김문백)
    25世
    정(楨)
    26世
    엽(燁)
    27世
    재(在)
    28世
    호(鎬)
    29世
    영(泳)
    30世
    근(根)
    31世
    희(熺)
    32世
    곤(坤)
    33世
    용(鏞)
    34世
    락(洛)
    35世
    상(相)
    36世
    희(熙)
    37世
    재(載)
    38世
    현(鉉)
    39世
    -
    40世
    -
    41世
    -
    42世
    -
    43世
    -
    44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6世孫은 25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남도 김해
    김녕(金寧)은 경상남도 김해(金海)의 옛 지명으로 낙동강(洛東江) 하구 남서쪽에 위치하여 일찍부터 가락국(駕洛國)의 문화 중심지로 발전해 오다가 532년(신라 법흥왕 19) 신라에 병합되어 금관군(金官郡)이 되었다. 680년(문무왕 20)에 금관소경(金官小京)이 되었다가 757년(경덕왕 16) 김해소경(金海小京)으로 고쳤고, 940년(고려 태조 23) 김해부(金海府)로 고쳐 임해(臨海)·금주(金州) 등으로 불렸으며, 1270년(원종 11) 방어사(防禦使) 김훤이 인접지역인 밀성(密城)의 난을 평정하여 김녕도호부(金寧都護府)로 승격되었다가 금주목(金州牧) 김해부(金海府)로 개칭되었다. 조선 태종이 다시 도호부로 고쳤다가 세조 때 진(鎭)을 두었으며,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김해군이 되었다. 1931년 김해면이 김해읍으로 승격되었고 1981년 김해군의 김해읍이 김해시로 승격하여 분리 되었으며 1995년에는 김해군이 김해시로 통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김녕김씨는
    1985년에는 102,901가구 424,336명, 2000년에는 162,204가구 513,015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290,092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