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김제김씨(金堤金氏)
유래
시조 : 김천서(金天瑞)
시조 김천서(金天瑞)는 신라 경순왕(敬順王)의 넷째 아들 대안군(大安君) 김은열(金殷說)의 12세손으로 고려 때 문하시중(門下侍中 : 문하성의 종1품 으뜸 벼슬)을 지내고 월성부원군(月城府院君)에 봉해졌다. 김천서가 김제에 정착한 후 그의 7세손 김정걸(金正傑)이 이조판서(吏曹判書)를 지내고 이성계(李成桂)를 도와 조선개국에 공을 세워 개국삼등공신(開國三等功臣)에 책록되었으며, 태종이 즉위하자 김제군(金堤君)에 봉해졌다. 이후 후손들이 김정걸을 1세조로 하고 본관을 김제로 정하였다. 인물
김정걸의 아들 김희준(金熙俊)이 1405년(조선 태종 5년) 문과에 급제하고 예천군수(醴泉郡守)와 경연참찬관(經筵參贊官)을 거쳐 예문관 직제학(藝文館直提學 : 임금의 칙령과 교명을 기록하던 관청의 정 3품 벼슬)에 올랐으며, 그의 손자 김순의(金順義)가 구례현감(求禮縣監)을 지내고, 김순례(金順禮)는 통덕랑(通德郞)에 이르렀다.
그 밖의 인물로는 세종 때 여산부사(礪山府使)를 지낸 김세효(金世孝)와 성종 때 영광군수(靈光郡守)를 지낸 김세광(金世光)이 유명했으며, 김극혜는 병자호란 때 왕을 뒤따라 원종일등공신(原從一等功臣)에 책록되고 현령(縣令)을 역임하여, 군자감정(軍資監正) 김욱(金頊), 돈령부 도정(敦寧府都正) 김철견(金鐵堅), 부호군(副護軍) 김천겸(金千兼)과 함께 명성을 날렸다. 철종 때에는 통정대부(通政大夫)와 중추원 의관(中樞院議官)을 거쳐 비서승(秘書丞)에 오른 김연태(金然泰)가 이름났고, 김희영(金熺永)은 고금도 수군절제사(古今島水軍節制使)를 지낸 후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이르러 길주목사(吉州牧使) 김신걸(金神傑)과 함께 가문을 빛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김사룡(金士龍, 1608 戊申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김응립(金應立, 1593 癸巳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김의룡(金義龍, 1641 辛巳生) : 무과(武科) 숙종15년(1689) 증광시 을과(乙科) 김정현(金鼎鉉, 1517 丁丑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명종13년(1558) 식년시 삼등(三等) 김여도(金麗道, 1869 己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22년(1885) 식년시 삼등(三等) 김연승(金然承, 1846 丙午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11년(1874) 증광시 삼등(三等) 김수림(金秀林)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중종2년(1507) 식년시 삼등(三等) 김연우(金然雨, 1852 壬子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28년(1891) 증광시 삼등(三等) 김연시(金然始, 1863 癸亥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17년(1880) 증광시 삼등(三等) 김윤백(金綸栢, 1836 丙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11년(1874) 증광시 삼등(三等) 등 모두 11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무과 3명, 생원진사시 8명)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전라북도 김제
김제(金堤)는 전라북도 서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삼한시대에 벽비리국(碧卑離國)이 있던 곳이다. 백제 인덕왕 때 벽골군(碧骨郡: 벼의 고을)으로 불리우다가 백제 멸망 후 당(唐)이 벽성(碧城)으로 고쳐 고사주(古四州: 高阜)의 영현을 삼았다. 신라 757년(경덕왕 16)에 평고현을 고쳐 김제군으로 개칭되었다. 1143년(고려 인종 21)에 전주목(全州牧)의 김제현이 되었다가 1171년(명종 1)에 금구현(金溝縣)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466년(세조 12)에 김제군으로 승격되었다. 1628년(인조 6)에 만경현(萬頃縣)이 김제군에 병합되었고 1759년(영조 35) 만경군과 금구군이 김제군에 병합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만경군과 금구군으로 분리되었다가 1914년 군면 폐합으로 다시 만경군과 금구군을 병합하여 17개 면이 되었으며, 1931년 김제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1989년 김제군의 김제읍과 일부면이 시로 승격 되었다가 1995년 김제군이 김제시에 통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김제김씨는
1985년에는 1,090가구 5,296명, 2000년에는 1,594가구 5,220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3,541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