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임구풍씨(臨朐馮氏)
    유래
     시조 : 풍삼사(馮三仕)
    시조 풍삼사(馮三仕)는 중국 산동성 임구현 사람으로 선조는 주나라 문공의 열다섯째 아들 필교가 진나라에서 벼슬을 하고 위나라 후가되고 풍성을 식읍으로 받아서 성을 풍이라고 했다. 풍삼사는 명나라 태학으로 심양에서 명나라 광복을 도모하다 뜻을 이루지 못하고 1645년(조선 인조 23년)에 봉림대군(鳳林大君, 후에 효종) 일행을 따라 9의사와 함께 조선으로 망명하였다. 우리나라에 들어와 정착하여 살면서 고향인 임구를 본관으로 하였다.

    - 묘는 남양주 진접읍 팔야리에 있다.
    인물
    시조 풍삼사의 증손 풍경문이 조선의 영조 때 훈련원 주부를 거쳐 어모장군을 지내고 통정대부(정3풍 당상관의 품계)에 추증되었으며, 아들 풍재검은 선략장군, 용양위 부사과를 역임한 후 가선대부, 호조참판에 추증되어 가문을 중흥시켰으며, 풍학조(풍재검의 아들)는 첨지중추부사(중추부 당상 정3풍 무관벼슬)를 지냈다. 그 외 인물로는 오위장 풍세주와 감찰 풍석기, 부호군 풍세룡등이 대표적이다.
    - 풍익한(馮翊漢) 자는 운거, 호는 인재, 조선 때 장사랑을 역임하였다.
    - 풍경문(馮慶文) 자는 군심, 호는 함인당, 조선 때 어모장군 · 훈련원 주부를 지냈다.
    - 풍재검(馮載儉) 자는 선지, 호는 송암, 조선 때 선략장군 · 용양위 부사과를 역임하였다.
    - 풍학조(馮學祖) 자는 백소, 호는 돈암. 조선 때 요양위 부호군을 지냈다.
    - 풍세호(馮世鎬) 자는 주경, 호는 죽오, 조선 때 선략장군을 역임하였다.
    - 풍세룡(馮世龍) 자는 윤하, 조선 때 부호군을 지냈다.
    - 풍세봉(馮世鳳) 자는 윤상, 조선 때 부사과를 역임했다.
    - 풍석구(馮錫龜) 자는 락첨, 조선 때 별제를 지냈다.
    - 풍석기(馮錫驥) 자는 하첨, 호는 지암, 조선 때 찰방을 역임하였다.
    - 풍석붕(馮錫鵬) 자는 치만, 조선 때 비서승을 지냈다.
    - 풍교순(馮敎淳) 자는 성교, 조선 때 의관을 지냈다.
    - 풍학순(馮鶴淳) 자는 성선, 조선 때 참봉을 지냈다.
    주요 인물
    세거지
    - 경기도 양주군 봉접면 팔야리
    항렬자
    13世
    현(鉉)
    14世
    영(永)
    15世
    표(杓)
    16世
    병(炳)
    17世
    균(均)
    18世
    종(鍾)
    19世
    수(洙)
    20世
    완(梡)
    21世
    희(熙)
    22世
    영(瑛)
    23世
    용(鏞)
    24世
    원(源)
    25世
    본(本)
    26世
    하(夏)
    27世
    배(培)
    28世
    용(鎔)
    29世
    구(求)
    30世
    화(華)
    31世
    환(煥)
    32世
    광(珖)
    33世
    옥(鈺)
    34世
    제(濟)
    35世
    빈(彬)
    36世
    용(容)
    37世
    기(基)
    38世
    련(鍊)
    39世
    호(浩)
    40世
    동(東)
    41世
    -
    42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14世孫은 13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중국(中國) 산동성(山東省)
    중국의 산동성(山東省) 청주부(靑州府) 임구현(臨朐縣) 지역.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임구풍씨는
    1985년에는 91가구 361명, 2000년에는 175가구 585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478명으로 조사되었다.